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LiFE사업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잠재유형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Latent Profile Analysis of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Participation Motivation Among LiFE Project College Student
발행기관
한국평생교육학회
저자명
이재은(Jaeeun Lee) 서재원(Jaewon Seo) 김자현(Jahyun Kim)
간행물 정보
『평생교육학연구』제30권 제4호, 1~25쪽, 전체 2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5,8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고등교육의 환경 변화와 함께 대학이 평생학습의 중심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성인학습자의 고등교육 참여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대학 평생교육체제 지원사업(LiFE 2.0)을 통해 비전통적 학습자를 위한 학위과정 개설과 지원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선행 연구들은 성인학습자의 참여동기와 학습성과의 관계를 탐구해 왔으나 평생학습 참여동기의 다차원적 속성을 고려하여 사람 중심 접근의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상황이다. 이 연구는 LiFE사업 참여대학에 재학 중인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잠재프로파일분석을 통해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을 파악하여 성인학습자를 위한 맞춤형 교육 구현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강원, 경북 지역의 LiFE 2.0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4년제 대학 4개교의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활동중심, 목표중심, 학습중심의 세 가지 평생학습 참여동기를 바탕으로 잠재프로파일분석을 진행하였다. 270개의 설문자료를 분석한 결과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유형은 중저수준/활동회피, 복합수준/학습지향, 중간수준/목표회피, 높은수준/학습지향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각 유형별 성별, 학년, 입학전 최종학력, 직업 등의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평생학습 참여동기와 학습몰입, 대학생활적응, 학습성과 간 상관관계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성인학습자 대상 고등교육 학습설계와 성인학습자 평생학습 참여동기 관련 후속연구의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the demand for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increases, universities are being called to transform into key institutions within the community’s lifelong education system. In response,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promoting degree programs for adult learners through the Lifelong education at universities for the Future of Education (LiFE) Project. While previous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adult learners’ motivation and learning outcomes, there is limited research from a person-centered approach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LPA). This study aims to categorize adult learners’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in LiFE universities using LPA and identify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An online survey of 270 adult learners from four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LiFE 2.0 assessed three types of motivations: activity-oriented, goal-oriented, and learning-oriented. The analysis revealed four motivation types: low/moderate level/activity-avoidant, mixed level/learning-oriented, moderate level/goal-avoidant, and high level/learning-orien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gender, grade level, prior degree, or occupation among the types, bu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learning engagement, university life adaptation, and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dditionally, strong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lifelong learning motivation, engagement, adaptation, and outcomes. The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further research on motivation and learning design for adult learners in higher edu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재은(Jaeeun Lee),서재원(Jaewon Seo),김자현(Jahyun Kim). (2024).LiFE사업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잠재유형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30 (4), 1-25

MLA

이재은(Jaeeun Lee),서재원(Jaewon Seo),김자현(Jahyun Kim). "LiFE사업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잠재유형 분석." 평생교육학연구, 30.4(2024): 1-2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