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국내 일터학습 연구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및 토픽 모델링
이용수 0
- 영문명
- Workplace Learning Research in Korea: A Bibliometric Analysis and Topic Modeling Approach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장창성(Chang Sung Jang) 김재현(Jaehyun Kim) 조성범(Sungbum Cho) 유명현(Myunghyun Yoo)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제30권 제4호, 69~105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일터학습 연구의 동향과 주요 이슈를 분석함으로써 평생교육 및 인적자원개발 등 관련 분야의 연구 및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4년까지 KCI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일터학습 논문 184건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으로 계량서지학적 분석과 토픽 모델링 기법을 적용하여 연구주제 간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세부 하위주제를 식별하였다. 계량서지정보 분석결과, 일터학습 연구는 2010년대 초반을 전후로 발간이 크게 증가하였다. 저자, 학술지 및 주제어 등 출현 빈도 분석을 통해 일터학습 연구는 주로 근로자의 추가적인 학습 및 인적자원개발을 위한 실천적 관점에서 수행되었으며, 성인학습의 주요 이론 및 개념과의 연관성을 바탕으로 확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주제어 동시 출현 네트워크는 (1)성인학습이론과의 연계 및 경험적 활동으로서 일터학습, (2)인적자원개발 맥락에서 일터 무형식학습과 조직성과, (3)일터학습 개념 및 원리의 확산적 적용 등 3개 군집으로 구분되었다. 토픽 모델링을 통해 (1)개인 경력개발과 조직성과의 매개체로서 일터학습, (2)일터 무형식학습 참여와 학습전이, (3)일터 경험으로서 실행공동체와 학습문화, (4)개인의 지속적 역량/전문성 향상 및 리더십 개발, (5)활동이론의 적용을 통한 학습조직 및 사회적 네트워크 구축, (6)중소기업 등 조직 맥락에서 인적자원개발 및 교육훈련 등 6개 하위주제를 식별하였다. 또한 시계열분석을 통해 식별된 하위주제를 연구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Hot’ 토픽과 언급량이 상대적 감소 추세를 보이는 ‘Cold’ 토픽으로 구분하였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조직 맥락에서 일터학습 개념의 실천적 활용 및 학술적 담론의 확장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and main issues concerning workplace learning (WL) research in Korea, thereby providing implications for both research and practice in related fields such as lifelong educa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We collected KCI-indexed scholarly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0 and 2024, analyzing a total of 184 papers. Bibliometric analysis and topic modeling techniques were employ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research themes and to identify specific subtopics.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number of WL-related article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early 2010s. Through frequency analysis of authors, sources, and keywords, we revealed that WL research has predominantly focused on the practical aspects of workers’ additional learning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expanding in conjunction with key rationales and principles from adult learning. According to the keyword co-occurrence network analysis, we discerned three thematic clusters Furthermore, six subtopics were identified through topic modeling. A time-series analysis of identified subtopics revealed hot and cold topics, representing areas of emerging research interest or those showing a decline in focus, respectively. Based on the findings, we suggested future directions for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WL concepts across diverse contexts, along with recommendations for expanding academic discourse in the field.
목차
Ⅰ. 서론
Ⅱ. 문헌 검토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 직업능력개발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0년간(2003∼2023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LiFE사업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잠재유형 분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신입사원 이직 예측 요인 탐색: 성별 간 차이 비교
- 장애 성인과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의 통합교육 인식과 요구 분석
- 기초자치단체의 평생교육 SNS 마케팅 활동 특성, 평생교육 브랜드이미지, 평생교육참여의지의 관계: 기초자치단체 SNS 채널 가입 주민을 대상으로
- 마을 기반 청년공동체의 형성과정 및 청년의 학습경험 분석 - ‘윙윙’ 사례를 중심으로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국내 일터학습 연구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및 토픽 모델링
- 영농실천공동체에서 승계형 청년농업인의 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분석
- 졸업대학 소재권역 간 첫 일자리 질의 차이와 영향요인: 성인 진로교육에 주는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