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신입사원 이직 예측 요인 탐색: 성별 간 차이 비교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Predictors of Turnover for New Employees Using Decision Tree Analysis: A Comparative Study of Gender Differences
- 발행기관
- 한국평생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지수(Ji Su Kim) 조대연(Dae Yeon Cho)
- 간행물 정보
- 『평생교육학연구』제30권 제4호, 317~33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신입사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합적으로 탐색하고, 성별에 따라 각 요인들이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력에 차이가 있는지 비교하는 데 있다. 이를 바탕으로 신입사원의 이직률을 감소시킬 수 있는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 중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하였으며, 이직 의도를 예측 변수로 설정하고 설명변수는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개인적 요인, 조직적 요인, 직무 관련 요인에 속하는 총 26개의 변수로 구성하였다. 신입사원의 이직 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 상위 변수를 살펴보았을 때, ‘직장 만족도’, ‘직무-교육 수준 일치도’, ‘근로 지위’, ‘나이’와 같은 변수들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남성 신입사원의 경우 ‘직장 만족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직무-교육 수준 일치도’, ‘근로 지위’, ‘나이’, ‘인사체계 만족도’, ‘직업분류’, ‘전공계열’ 등의 변수로 나타났다. 여성 신입사원의 경우 ‘일과 자신의 기술 수준 일치도’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직장 만족도’, ‘근로 지위’, ‘노동조합 유무’, ‘사업체 형태’, ‘기업체 종사자 수’ 등의 변수가 이직을 고려하는 데 중요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결과를 통해 성별에 따른 인사 배치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며, 동시에 MZ세대가 기존 세대와 달리 직장의 개념을 달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신입사원의 이직 문제를 다뤄야 한다는 것을 도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rehensively explore the factors that influence new employees' turnover intention and compar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influence of each factor on turnover intention based on gender. Based on the results, suggestions were made to reduce the turnover rate of new employees. In this study, decision tree analysis was used as a machine learning technique, and turnover intention was set as a predictor variable, and the explanatory variables were composed of 26 variables belonging to personal factors, organizational factors, and job-related factors based on previous studies. When examining the top variable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s of new employees, we found that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job-education match', 'working status', and 'age' are important. We also found that there are differences in the factors that affect turnover intentions of new employees between genders. For male new hires, 'job satisfaction'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followed by 'job-education level match', 'working status', 'age', 'HR system satisfaction', 'job classification', and 'major field of study'. In the case of female new hires, 'match between job and skill level' was found to be the most influential, while variables such as 'job satisfaction', 'working status', 'labor union', 'business type', and 'number of employees' were found to be important in considering a job change. The results suggest that a strategic approach to gender-based staffing is necessary, and at the same time, the turnover of new employees should be addressed 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MZ generation has a different concept of workplace than the previous gener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여성 직업능력개발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 최근 20년간(2003∼2023년) 국내 학술지를 중심으로
- LiFE사업 단과대학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 참여동기 잠재유형 분석
- 의사결정나무분석을 활용한 신입사원 이직 예측 요인 탐색: 성별 간 차이 비교
- 장애 성인과 장애인 평생교육 관계자의 통합교육 인식과 요구 분석
- 기초자치단체의 평생교육 SNS 마케팅 활동 특성, 평생교육 브랜드이미지, 평생교육참여의지의 관계: 기초자치단체 SNS 채널 가입 주민을 대상으로
- 마을 기반 청년공동체의 형성과정 및 청년의 학습경험 분석 - ‘윙윙’ 사례를 중심으로
- 원자력 발전, 근대화 담론, 그리고 사회-물질적 연결망의 학습 : 산업화 세대 원전 지지자들의 원전 인식에 대한 질적 연구
- 국내 일터학습 연구동향: 계량서지학적 분석 및 토픽 모델링
- 영농실천공동체에서 승계형 청년농업인의 학습에 관한 내러티브 분석
- 졸업대학 소재권역 간 첫 일자리 질의 차이와 영향요인: 성인 진로교육에 주는 함의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