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s of College Freshmen's Academic Stress and Anxiety on Their Plans to Drop Out: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발행기관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저자명
백승아(Seung-A Paek) 김지은(Ji-Eun Kim)
간행물 정보
『사회심리발달연구』제6권 1호, 89~10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심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4.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 학업중단계획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분석함으로써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있는 Y 대학 신입생 643명으로 온라인시스템을 활용하여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를 IBM SPSS 27.0과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중단계획의 관계를 불안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학업중단계획의 관계를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 학업중단계획의 관계를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결론적으로, 대학 신입생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학업스트레스가 불안감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아져 학업중단계획이 낮아지는 것으로 해석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basic data necessary for college freshmen's adaptation to college life by analyzing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academic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freshmen's academic stress, anxiety, and plans to drop out of school. Method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643 freshmen at Y University in Gyeonggi Province. The study was conducted using an online system,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IBM SPSS 27.0 and the SPSS Process Macro program. Result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anxiet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freshmen’s academic stress and plans to drop out of school.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academic self-efficacy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lege freshmen’s academic stress and plans to drop out of school.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elf-efficacy had a moderated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stress, anxiety, and plans to drop out of school among college freshmen. Conclusions In conclusion, it is interpreted that as the level of academic self-efficacy of college freshmen increases, the influence of academic stress on anxiety decreases, and thus the plan to drop out of school decreas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백승아(Seung-A Paek),김지은(Ji-Eun Kim). (2025).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회심리발달연구, 6 (1), 89-109

MLA

백승아(Seung-A Paek),김지은(Ji-Eun Kim).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사회심리발달연구, 6.1(2025): 89-10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