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동체 활동에서의 보육교사 변화 탐색
이용수 0
- 영문명
- Exploring the Changes of Childcare Teachers in Community Activities Us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최옥순(Ok-Soon Choi) 박희숙(Hee-Sook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6권 1호, 71~8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내에서 보육교사가 인성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여 스스로 지녀야 하는 인성에 대해 이해하고, 공동체 활동을 통한 보육교사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S시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2명이다. 연구는 2023년 3월 17일부터 10월 27일까지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2주에 1번씩 총 12회기 실시하였으며, 참여관찰, 면담, 활동 결과물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보육교사의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았다.
결과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활동으로 교사들의 변화는 초기 불편함을 느꼈던 것에서 점차 존중과 배려의 태도로 변화하고 영유아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가질 수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들은 갈등 해결 능력이 향상되고 협력 및 소통을 통해 행복이 증진됨을 볼 수 있었다. 셋째, 보육교사들은 긍정적인 보육환경을 조성하려고 노력하였으며 다양한 수업을 준비하면서 보육환경이 개선됨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활동으로 보육교사들은 자기 자신을 이해하고, 목적에 대한 동기부여와 역량 강화를 통해 전문성이 향상되어 전체적으로 교사의 자기 성장이 이루어짐을 볼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공동체 활동으로 교사들의 변화된 모습은 교사의 인성 함양과 정서적 안정감이 영유아의 인성으로, 공동체 활동에서의 행복증진이 보육환경의 개선으로 볼 수 있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교사 자신의 성장과 함께 양질의 보육실행의 성과를 가져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personality that childcare teachers should possess by participating in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in child care centers and to explore changes in childcare teacher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Methods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12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a daycare center in City S. The study conducted a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once every two weeks for a total of 12 sessions from March 17 to October 27, 2023, and collected data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interviews, and activity results, and examined the meaning of the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teachers changed from feeling uncomfortable at first to gradually showing respect and consideration, and were able to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young children. Second, the teachers’ conflict resolution skills improved and their happiness increased through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Third, the teachers tried to create a positive childcare environment, and the childcare environment improved as they prepared various classes. Fourth,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in the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childcare teachers can understand themselves, and their professionalism can be improved through motivation and capacity building for their goals, leading to overall self-growth for teacher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changes in teachers through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can be seen as the fostering of teachers’ character and emotional stability into the character of infants and toddlers, and the increased happiness in community activities into the improvement of the childcare environment.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ultimately led to the achievement of quality childcare implementation along with the growth of the teachers themselv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의 관계에서 모의 결혼만족과 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태희망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교권 보장 인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동체 활동에서의 보육교사 변화 탐색
- 중국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탐색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