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년기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태희망의 매개효과
이용수 0
- 영문명
-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Hop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life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최은희(Eun-Hee Choi) 안귀여루(Gwi-yeo-roo Ahn)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6권 1호, 54~70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기의 영성과 상태희망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상태희망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여 중년기의 심리적 안녕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본 연구에서는 중년기 남녀를 대상으로 남성 100명과 여성 100명, 총 200명의 자료를 수집하여 SPSS와 PROCESS macro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중년기의 영성과 상태희망은 심리적 안녕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중년기의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태희망의 부분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선행연구에 근거하여 논의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중년기의 심리적 안녕감을 높이기 위한 효율적인 개입 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a plan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middle-aged people by confirming the effect of spirituality and state hope on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aged people and the mediating effect of state hope.
Methods In this study, data from 200 middle-aged men and women (100 men and 100 women) were collected and analyzed using SPSS and PROCESS macro programs.
Result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pirituality and state hope in middle ag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state hope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piritual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in middle age.
Conclusions The above research results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well-being in middle age was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의 관계에서 모의 결혼만족과 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태희망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교권 보장 인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동체 활동에서의 보육교사 변화 탐색
- 중국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탐색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