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의 관계에서 모의 결혼만족과 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The effect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Father's parenting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nd Parenting Style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이영훈(Young-Hun Lee)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6권 1호, 1~1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이 연구는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의 관계에서 모의 결혼만족과 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방법 이를 위해 경기도 남부지역에 거주하는 만 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 285쌍을 대상으로 모의 원가족 건강성, 양육방식, 결혼만족과 부의 양육참여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 중 온정적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 모의 결혼만족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통제적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는 매개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 중 온정적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 부의 양육참여의 조절효과가 유의하였다. 그러나 통제적 양육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조절효과가 유의하지 않았다.
결론 이러한 결과를 기존의 연구결과에 비추어 해석하고,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결혼만족을 높이기 위한 정책과 제도의 방향을 제시했으며, 특히 공동양육자인 부의 양육에서의 역할과 참여에 대한 지원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mother's marital satisfaction and father’s child-rearing particip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nd parenting styles.
Methods Data was collected from 285 couples with children aged 3 to 5 years, residing in the southern part of Gyeonggi Province. The study measured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parenting styles, marital satisfaction, and father’s child-rearing participation, and analyzed the data.
Results First, marital satisfaction of the mother showe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nd warm parenting. However,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was found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nd controlling parenting. Additionally, father’s child-rearing participation showed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nd warm parenting. However,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was observ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nd controlling parenting.
Conclusions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interprets the results in light of existing research and suggests policy and institutional directions to support mother’s family-of-origin health and marital satisfaction, emphasizing the need for support regarding the role and participation of fathers as co-parent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의 관계에서 모의 결혼만족과 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 중년기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태희망의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교권 보장 인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동체 활동에서의 보육교사 변화 탐색
- 중국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탐색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심리학분야 NEW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