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이용수 81
- 영문명
- Motivation and operation of the director before and after the selection of the public child care center Explore the experience
- 발행기관
- 영곡사회심리발달학회
- 저자명
- 김현희(Hyun-Hee Kim) 박희숙(Hee-Sook Park)
- 간행물 정보
- 『사회심리발달연구』제6권 1호, 36~53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4.30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과정에서 원장의 기관 운영 경험이 어떠한지를 탐색하여 보육현장에서의 현실적인 어려움은 무엇인지 알아보고, 공공형어린이집 정책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연구참여자는 경기도 O시에 소재한 공공형어린이집 원장 4명이며,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13일부터 10월 26일까지 총 3회기 심층면담을 통해 수집하였다.
결과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형어린이집 지원 동기는 보육교직원의 전문성과 안정성 부족, 원 운영의 어려움, 선정에 대한 기대였다. 둘째,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후 원장의 부정적 경험은 기대에 못 미치는 원아모집, 공공형 평가기준 충족 어려움으로 나타났고, 긍정적 경험은 공공형어린이집의 엄격한 관리체계와 운영의 보람으로 나타났다.
결론 공공형어린이집으로 선정된 원장들은 기존 민간·가정 어린이집 보다 더 전문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공공성을 띤 보육기관으로 거듭나는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기대에 못 미치는 원아모집, 공공형 평가기준 충족어려움 등이 있었다. 본 연구는 공공형어린이집의 실제 어려움을 알아보고, 공공형어린이집 운영의 긍정적, 부정적 측면에서의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director through the process before and after the selection of a public daycare center. Through this, we will investigate what are the practical difficulties in the childcare field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public daycare center policy.
Method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four directors of a public daycare center located in O City, Gyeonggi-do,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r a total of three sessions from September 13 to October 26, 2023.
Results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otivations for applying to public daycare centers were the lack of professionalism and stability of childcare staff, difficulties in operating the center, and expectations about selection. Second, the negative experiences of directors after being selected for public daycare centers were shown as lower-than-expected student recruitment and difficulties in meeting public daycare evaluation criteria, while positive experiences were shown as the strict management system of public daycare centers and the rewards of operation.
Conclusions The directors who were selected as public daycare centers experienced that they were reborn as childcare institutions with public characteristics that were more professional and stable than existing private and home daycare centers. However, there were some problems such as lower than expected student recruitment and difficulty in meeting public evaluation criteria.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the fact that it examined the actual difficulties of public daycare centers and provided implications on the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of operating public daycare cent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사회심리발달연구 제6권 1호 목차
- 공공형어린이집 선정 전·후 원장의 동기와 운영 경험 탐색
- 모의 원가족 건강성과 양육방식의 관계에서 모의 결혼만족과 부의 양육참여가 미치는 영향
- 대학 신입생의 학업스트레스와 불안감이 학업중단계획에 미치는 영향: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조절된 매개효과
- 초등교사의 교권 보장 인식이 심리적 소진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의 매개효과
- 인성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한 공동체 활동에서의 보육교사 변화 탐색
- 중국 대학생의 직업가치관과 진로적응력의 관계에서 진로탐색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 중년기 영성과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상태희망의 매개효과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