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퇴직 중장년 재취업자의 기대임금과 실질임금의 격차 영향 요인 분석
이용수 24
- 영문명
- An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the Gap between Expected and Actual Wages among Reemployed Middle-Aged Retiree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이유리(Yuree Lee) 이영민(Young-Mi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2호, 239~25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장년층 조기 퇴직 이후 재취업 시 발생하는 임금 격차의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특히 인적자본이론을 중심으로 기대임금과 실제 임금 간의 차이가 어떠한 요인에 의해 설명되는지를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40세 이상 60세 미만의 퇴직 후 재취업한 중장년층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총 268개 응답을 받아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성별, 학력, 직무 분야가 기대 임금과실제 임금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여성은 남성보다 기대 임금과 실제 임금이 모두 낮았으며 대학원 졸업 이상의 학력은 모두 높게 나타났다. 기대임금과 실제 임금의 격차를 분석한 결과 성별, 연령, 학력이 영향을 미쳤고 중장년 재취업 임금에주요하게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성별과 학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임금 격차는 남성의 경우 격차가 높았고 여성과 고령일수록 임금의수준이 비슷해 격차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중장년층의 재취업 시 임금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성별에 따른 지원 정책과 고령자에 대한 일자리 정책이 필요성과 고학력 중장년층에 대한 재취업 임금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wage gap that arises when middle-aged individuals reenter the workforce after early retirement, with a particular focus on human capital theory. Specifically, it explores how the gap between expected and actual wages can be explained by various factor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268 reemployed individuals aged between 40 and 59,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he results indicate that gender, educational attainment, and occupational field significantly affect both expected and actual wages. Women reported lower expectations and actual earnings than men, while individuals with a graduate-level education showed higher wage levels. Regarding the wage gap between expected and actual wages, gender, age, and education were significant factors. Gender and education emerged as the primary influences on reemployment wages. The wage gap was wider among men, whereas women and older individuals tended to have smaller gaps due to similarly low expected and actual wages. These findings suggest the need for gender-specific employment support policies, targeted job creation strategies for older workers, and further research on reemployment wages among highly educated middle-aged individua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장년 근로자의 근로지속의도 영향요인 분석
-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대전의 노동력 유지 및 인재 양성 전략
- 퇴직 중장년 재취업자의 기대임금과 실질임금의 격차 영향 요인 분석
- 가족 중소기업의 업무용 토지소유, 세대참여, 재무성과의 관계: Mixed gamble 전략을 적용한 사례연구
- AHP를 이용한 PL상품 공급업체 선정에 관한 연구
- Z세대 대학생의 소통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AI 기반 창업 팀워크 및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 중장년의 개인역량, 은퇴태도 및 직무활동 경험이 경제활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창업지원기관의 교육역량이 창업가의 현장 활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 수강 시간의 조절효과
- 대학 창업교육 유형이 학생 창업 및 그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 대학에 대한 패널 분석
- 청년층 자영업 진입과 기업가정신: 청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분석
- 창업체험이 창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청년지원센터 기능 확장에 대한 시사점 연구
-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