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가족 중소기업의 업무용 토지소유, 세대참여, 재무성과의 관계: Mixed gamble 전략을 적용한 사례연구
이용수 18
- 영문명
- “Does a Family Have Hidden Pearls?” The Mixed gamble of Land Ownership for Family-Managed SME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구인혁(Inhyouk Koo) 변영조(YoungJo Byun) 하호정(Hojung Ha)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2호, 113~13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가족기업의 업무용 토지 소유가 세대참여, 재무성과, 그리고 기업의 자산 소유 목적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해 mixed gamble 전략을 적용하였다. 이 개념은 가족기업이 경제적 이익과 사회·정서적 자산(Socioemotional Wealth, SEW)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는 의사결정 방식으로, 가족기업의 전략적 행위와 성과를 폭넓게 이해하는 데 효과적이다. 분석을 위해, 중소기업을 지원하는 금융기관 내 업무용 토지 보유 여부, 금융비용과 세대 간 구조 파악이 가능한108개의 가족기업 중, ‘이론적 샘플링’ 기법을 적용하여 5개 기업을 선별하였다. 비확률적 표집 방식을 통해 창업자와 차세대 경영자를 주요 인터뷰 대상으로 선정한 뒤 반구조화(semi-structured) 방식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인터뷰 결과, 첫째, 가족기업의 업무용 토지 소유는 지역사회의 공간적 기반과 SEW의 결합을 촉진하여 기업과 지역 간 신뢰 구축, 브랜드 이미지 형성 및 경제적 기회 창출 등의 효과를 가져왔다. 이를 통해, 업무용 토지 소유는 가족기업의 지속 가능성과사회적 책임 이행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소로 확인되었다. 둘째, 자금조달 방식과 SEW의 상호작용 측면에서 가족기업들은 외부 자금 의존도를 최소화하고 장기적 재무 안정성을 확보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금융기관과의 관계금융을 활용하여 이자 비용 절감과 임대료 감면의 실질적인 혜택을 통해, 더욱 안정적인 재정 구조를 구축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업무용 토지의 장기 보유는 단순한 이익 추구를 넘어, 가족기업의 비전과 가치를 구현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작용했다. 이는 가족경영 철학을 후속 세대에 전달하고, 기업 정체성을 유지·강화하는 핵심 매개체 역할을 하였다. 즉, 가족기업의 업무용 토지 소유는 단순한 물리적 자산의 취득이 아니라, 지역사회와의 관계 강화, 장기적 재무성과 확보, 가족 정체성 계승을 종합적으로 지원하는 전략적 선택으로 입증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업무용 토지 소유를 고려하는 국내 가족기업에게 재정적 이익뿐만 아니라, 동양 문화권 내에서 사회·정서적 자산으로서 토지 소유가 갖는 의미를 강조할 수 있다. 또한, 장기적 관점에서 가족기업의 토지 소유는 지역사회 기여와 기업 정체성 확립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효과적인 선행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pplies the Mixed Gamble framework to examine the impact of operational land ownership on generational involvement, financial performance, and asset management strategies within Korean family SMEs. By analyzing the interplay between economic returns and socioemotional wealth (SEW), this study provides insights into the strategic decision-making processes in family businesses. Employing theoretical sampling, five family firms were selected from an initial sample of 108 SMEs affiliated with a financial institution specializing in SME support. The selection criteria included operational land ownership, financing structures, and generational composition.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key informants, including founders and next-generation managers, identified through purposive sampling. The findings indicate that integrating SEW considerations into operational land ownership fosters stakeholder trust, enhances brand image, and creates economic opportunities, thereby promoting corporate sustainability and social legitimacy. Family firms also showed a preference for internal financial stability over external funding. Relationship banking emerged as an important facilitator, providing tangible economic benefits such as reduced financing costs and optimized rental expenses, thus supporting long-term financial performance. Furthermore, the research underscores that operational land ownership extends beyond purely economic motives. It serves as a foundational asset embedding family values and vision, ensuring intergenerational continuity and reinforcing entrepreneurial identity. As both a financial asset and a socioemotional anchor, operational land strategically facilitates community engagement, supports sustainable financial outcomes, and preserves family legacies. This dual role highlights operational land ownership as an effective means for family firms to balance economic goals with cultural and societal commitments, ultimately fostering lasting community connections and organizational resilience.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장년 근로자의 근로지속의도 영향요인 분석
-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대전의 노동력 유지 및 인재 양성 전략
- 퇴직 중장년 재취업자의 기대임금과 실질임금의 격차 영향 요인 분석
- 가족 중소기업의 업무용 토지소유, 세대참여, 재무성과의 관계: Mixed gamble 전략을 적용한 사례연구
- AHP를 이용한 PL상품 공급업체 선정에 관한 연구
- Z세대 대학생의 소통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AI 기반 창업 팀워크 및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 중장년의 개인역량, 은퇴태도 및 직무활동 경험이 경제활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창업지원기관의 교육역량이 창업가의 현장 활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 수강 시간의 조절효과
- 대학 창업교육 유형이 학생 창업 및 그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 대학에 대한 패널 분석
- 청년층 자영업 진입과 기업가정신: 청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분석
- 창업체험이 창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청년지원센터 기능 확장에 대한 시사점 연구
-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