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창업체험이 창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청년지원센터 기능 확장에 대한 시사점 연구
이용수 25
- 영문명
- An analysis of prior research on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xperience on entrepreneurial empowerment and implications for expanding the functions of youth centers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정해민(Haemin Jeong) 김재균(Jaeg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2호, 151~16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창업체험이 창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사례와 효과성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전국적으로 확산되고있는 청년지원센터에서의 고유 기능 확장으로써의 필요성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청년들에게 창업에 대한 문턱을 낮추어주는 역할에 대한 기대와 정책 발전에 기여하고 나아가 우리나라 청년 창업의 활성화를 위한 견인 체계로써 청년지원센터의활용도를 높이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본 연구는 관련 분야 79건의 선행연구 및 관련 보고서 등을 검토하였으며청소년부터 대학생을 거쳐 청년까지 창업체험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조명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부의 교육정책 차원에서 창업체험 활성화 및 창업체험 거점기관 마련과 같은 정책 확장도 확인하였고, 중·고등학교와 함께 지역의 거점 센터로서의 역할을 가진 대학기관 및 대학 내 자체적인 창업체험 사업 운영 등이 운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청년 창업 관련 분야의 주요 기관으로는 초기 창업자와 기 창업자를 대상으로 창업 지원을 진행하는 것에 편향되어 있어 향후 예비 청년 창업자 발굴과 청년 창업의 발전을 위해 다양한 정책의 적용이 필요한 것으로 보였다. 끝으로 이 연구의 확장과 발전을 위해 전국 청년지원센터를 이용하는 청년을 대상으로 창업체험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와 함께 산발적으로, 일시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창업체험 운영 사례를 보다 면밀히 탐색하여 청년 대상 창업체험이 창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대해 조절 변수로서 설정하여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청년지원센터를 통한잠재적 청년 창업자 발굴 정책 마련 및 청년 창업자 대상 주요 기관과의 연계 방안을 마련함과 동시에 이를 기반으로 한 연구의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청년지원센터의 본연의 역할을 지지하며 청년지원센터의 기능 확장의 방향성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xpectations and policies for the role of lowering the threshold of entrepreneurship for young people in the future by analyzing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xperiences on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and suggesting the need to expand the unique functions of youth centers that are spreading nationwide, and to increase the utilization of youth centers as a driving system for revitalizing youth entrepreneurship in Korea. This study reviewed 79 previous studies and related reports in the field and confirmed that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xperience is continuously highlighted from adolescents to university students to young adults. It also confirmed the expansion of policies such as activating entrepreneurship experience and establishing entrepreneurship experience base institutions at the level of government education policy, and confirmed that university institutions that serve as regional base centers along with middle and high schools are operating their own entrepreneurship experience projects. On the other hand, major organizations in the field of youth entrepreneurship are biased toward providing entrepreneurship support to early and established entrepreneurs, so it seems necessary to apply various policies to discover prospective youth entrepreneurs and develop youth entrepreneurship in the future. Finally, for the expansion and development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xperiences for young people who use youth support centers nationwide, and to explore more closely the cases of sporadic and temporary entrepreneurship experience operations, and to set the impact of entrepreneurship experiences for young people on strengthening entrepreneurship capabilities as a moderating variabl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policies to identify potential young entrepreneurs through youth support centers and linkages with major organizations for young entrepreneurs, as well as to the development of research based on this study. This study supports the role of youth support centers and suggests directions for expanding their func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창업체험 선행연구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장년 근로자의 근로지속의도 영향요인 분석
-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대전의 노동력 유지 및 인재 양성 전략
- 퇴직 중장년 재취업자의 기대임금과 실질임금의 격차 영향 요인 분석
- 가족 중소기업의 업무용 토지소유, 세대참여, 재무성과의 관계: Mixed gamble 전략을 적용한 사례연구
- AHP를 이용한 PL상품 공급업체 선정에 관한 연구
- Z세대 대학생의 소통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AI 기반 창업 팀워크 및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 중장년의 개인역량, 은퇴태도 및 직무활동 경험이 경제활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창업지원기관의 교육역량이 창업가의 현장 활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 수강 시간의 조절효과
- 대학 창업교육 유형이 학생 창업 및 그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 대학에 대한 패널 분석
- 청년층 자영업 진입과 기업가정신: 청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분석
- 창업체험이 창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청년지원센터 기능 확장에 대한 시사점 연구
-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