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대전의 노동력 유지 및 인재 양성 전략
이용수 43
- 영문명
- A Study on Strategies for Maintaining Labor Force and Cultivating Talent in Daejeon to Respond to the Crisis of Regional Depopulation
- 발행기관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 저자명
- 홍은영(Eunyoung Hong) 양승호(Seungho Yang)
- 간행물 정보
-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2호, 61~92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6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지방 소멸은 대전을 비롯한 많은 도시의 경제적 지속가능성을 위협하는 중대한 도전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대전시의 노동력 유지 및 인재 양성 전략을 분석하고, 지방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전시는 연구개발 중심의 도시로서 첨단 기술 기반 산업이 강점이지만, 청년층 고용률 감소가 지속되며 지역내 노동시장 불균형과 산업의 지속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헌과 공공 통계자료, 인적자원 개발사례를 기반으로 대전시의 인구변화 및 노동시장 현황을 분석하고, 노동력 이동의 주요 요인을 푸시-풀(Push-Pull) 이론과 노동시장 미스매치 이론의 틀에서 재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전시는 타 지역과 비교할 때 과학기술및 연구개발 인프라가 우수한 반면, 고임금·고숙련 일자리의 부족, 지역 내 기업과 대학 간의 연계 미흡, 생활 인프라 및 정주 여건의 한계 등으로 인해 청년층이 지속적으로 유출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대전 지역 대학 졸업생들의 경우전공과 연계된 취업이 어렵고, 지역 내 기업과의 직무 적합성이 낮아 노동시장 미스매칭이 심각한 문제로 지적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자리 질 개선, 산업 다각화, 인력 유지 인센티브, 지역 인프라 개선에 초점을 맞춘 다차원적 정책적 도전과제를 제시하였다. 주요 제안으로는 임금 경쟁력 정책, 산업 수요에 부합하는 맞춤형 인력 양성, 산학협력 강화, 도시 정주 여건 개선 등을 통해 대전을 청년 전문인력에게 더욱 매력적인 도시로 만드는 방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전략들을 실행함으로써 대전은 노동력을 유지하고, 지속가능한 경제 성장을 촉진하며, 추가적인 지역 쇠퇴를 방지할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 지역 노동력 유지와 장기적 인적자원 개발을 위한 정책적 통찰과 전략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지역 활성화와 지속가능한 고용 모델에 관한 광범위한 논의에 기여한다.
영문 초록
Local extinction has emerged as a significant challenge threatening the economic sustainability of many cities, including Daejeon. This study analyzes Daejeon's labor force retention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strategies to address this crisis. As a research and development hub, Daejeon possesses strong advanced technology industrial foundations. However, continuous youth outflow to the Seoul metropolitan area has exacerbated labor market imbalances and raised concerns about long-term industrial sustainability. The study examines Daejeon's demographic changes and labor market conditions through existing literature, public statistical data, and human resource development case studies. By applying Push-Pull Theory and labor market mismatch frameworks, the analysis reinterprets key factors driving labor migration. Findings reveal that despite Daejeon's superior scientific and R&D infrastructure, persistent youth outmigration continues due to insufficient high-wage skilled jobs, inadequate business-university collaboration, and limited living infrastructure. Notably, Daejeon's university graduates struggle to find employment aligned with their academic backgrounds, while poor job-person fit within local companies worsens labor market mismatches. To address these challenges, the study presents multidimensional policy recommendations focused on improving job quality, diversifying industries, offering workforce retention incentives, and enhancing regional infrastructure. Key proposals include wage competitiveness strategies, industry-aligned customized workforce training, strengthened academia-industry partnerships, and improved urban settlement conditions to enhance Daejeon's attractiveness for young professionals. Implementation of these strategies can help Daejeon retain its workforce, promote sustainable economic growth, and prevent further regional decline. This research contributes to broader discussions on regional revitalization and sustainable employment models by providing strategic directions for local workforce retention and long-term human resource development.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대전의 인구 변화와 노동시장 현황
Ⅳ. 대전 지역 인적자원개발 사례 연구
Ⅴ. 정책적 도전 과제와 대응 방안
Ⅵ. 결론 및 정책적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중장년 근로자의 근로지속의도 영향요인 분석
-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한 대전의 노동력 유지 및 인재 양성 전략
- 퇴직 중장년 재취업자의 기대임금과 실질임금의 격차 영향 요인 분석
- 가족 중소기업의 업무용 토지소유, 세대참여, 재무성과의 관계: Mixed gamble 전략을 적용한 사례연구
- AHP를 이용한 PL상품 공급업체 선정에 관한 연구
- Z세대 대학생의 소통 특성이 팀 성과에 미치는 영향 - AI 기반 창업 팀워크 및 심리적 안전감의 매개효과
- 중장년의 개인역량, 은퇴태도 및 직무활동 경험이 경제활동 지속의도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창업지원기관의 교육역량이 창업가의 현장 활용에 미치는 영향: 교육 수강 시간의 조절효과
- 대학 창업교육 유형이 학생 창업 및 그 매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의 대학에 대한 패널 분석
- 청년층 자영업 진입과 기업가정신: 청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분석
- 창업체험이 창업역량 강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청년지원센터 기능 확장에 대한 시사점 연구
- AI 기술을 활용한 디지털 헬스케어 스타트업의 비즈니스 모델 사례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BEST
- 근로시간 단축(주 4일제) 관련 글로벌 동향 분석과 변화 방향 제언
- 소비자의 ESG경영요구가 ESG경영지지에 미치는 영향
- 직무만족, 조직몰입, 성과, 이직의도 간의 관련성 -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경제경영 > 경영학분야 NEW
- 일류기업(Great Company Research) 제2권 제1호 목차
- 다함께 돌봄사업 홍보영상에 대한 브랜드 포지셔닝 연구
-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Analysis of Brand Value: Korean Ginseng and Changbai Mountain Ginseng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