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년층 자영업 진입과 기업가정신: 청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분석

이용수  24

영문명
Youth entry into self-employment and entrepreneurship: Analysis of Youth Panel Survey 2nd Year Data
발행기관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
저자명
김종성(Jongsung Kim) 황광훈(Kwanghoon Hwang) 조용운(Yongun Cho) 김수진(Sujin Kim)
간행물 정보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제9권 제2호, 21~38쪽, 전체 18쪽
주제분류
경제경영 > 경영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4,9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패널조사(YP2021) 2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청년 자영업자의 진입 요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분석 결과, 첫째, 15세~29세 청년의 최종 학력이 대학생 이상일 경우 자영업에 진입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년이 14세였을 때 아버지가 자영업자였을 경우, 자영업에 진입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본인이 소유한 금융자본이 있는 청년은 자영업에 진입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부모가 보유한 기술, 관리 능력, 지식, 교육 등 기업가적 자본이 자녀에게 전이되면서 자녀의 자영업 진입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함을 의미한다. 특히, 부모가 자영업을 운영한 경험이 있었을 경우, 자녀는 보다 현실적인 창업 기회를 접할가능성이 커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마지막으로, 청년자영업자의 기업가정신은 자영업 진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이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년 자영업자의 성공을 촉진하기 위해 학력, 기업가적 자본, 금융자본 등의 요인을 고려한 맞춤형 창업 지원이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또한, 청년 자영업자들이 지속 가능한 경영 활동을 이어갈 수 있도록 창업 생태계의 활성화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ntry factors of youth self-employed people using youth panel data(YP2021).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likelihood of entering self-employment decreases when the final education level of young people aged 15 to 29 is higher than college student. Second, when the young man was 14 years old and the father was self-employed, the likelihood of entering self-employment increased. Lastly, it was found that young people with financial capital owned by them are more likely to enter self-employment. This means that entrepreneurial capital such as skills, management, knowledge, and education owned by parents has been transferred to their children in factors for their children to enter self-employment, and in particular, parents' background of self-employment is believed to be because it provided practical opportunities for self-employed children to start businesse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the entrepreneurship of youth self-employed people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employment entry.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is a theoretical meaning in that the study was conducted only for youth self-employed people (15-29 years old) by reflecting the increasing trend in the number and proportion of youth self-employed people. In addi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success of youth self-employed people, customized start-up support considering education, entrepreneurial capital, and financial capital should be systematically provided. Finally, it suggests that an environment should be created in which youth self-employed people can carry out sustainable management activ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종성(Jongsung Kim),황광훈(Kwanghoon Hwang),조용운(Yongun Cho),김수진(Sujin Kim). (2025).청년층 자영업 진입과 기업가정신: 청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분석.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 (2), 21-38

MLA

김종성(Jongsung Kim),황광훈(Kwanghoon Hwang),조용운(Yongun Cho),김수진(Sujin Kim). "청년층 자영업 진입과 기업가정신: 청년패널조사 2차년도 자료 분석." 한국진로창업경영학회지, 9.2(2025): 21-3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