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국 대학생 진로결정 능력의 진단척도 타당화 연구
이용수 8
- 영문명
-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Scale Tool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이설미(Xue-Wei Li) 이석열(Suk-Yeol Lee) 장효청(Xiao-Qing Zhang)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3호, 309~330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중국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능력의 개념과 구성 요소를 탐구하고, 미래 의사결정 능력을 측정하기 위한 진단 척도의 타당화를 시도하였다.
연구방법: 이 연구는 델파이 설문 조사를 두 단계로 실시하여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능력의 예비 문항을 개발했으며, 진단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326명의 대학 4학년을 대상으로 예비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1,015명의 참여자를 대상으로 본 조사 설문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능력을 위한 진로 자기 이해, 진로 정보 수집, 진로 선택, 진로 준비 행동으로 구성된 18개 항목이 개발되었다.
연구결론: 이 연구에서 타당화를 거쳐 개발된 중국 대학생의 진로 의사결정 능력 척도는 진로결정 개념을 확립하고 효과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활용할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 and components of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for Chinese college students, and to develop and validate a scale to measure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Method: This study employed a two-stage Delphi survey to analyze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of college students. To validate the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scale, a preliminary survey was administered to 326 college students, followed by a main survey involving 1,015 participants.
Results: Eighteen items were developed consisting of career self-understanding, career information collection, career choice,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for college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Conclusion: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lies in its potential to serve as primary data for establishing and effectively measuring the concept of career decision-making ability among Chinese college studen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6권 제3호 목차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협업도구 활용 사례연구
- 지역고용담당자의 업무수행 기간, 지각된 역량수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육 커먼즈의 진화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
- 학부모와 학생으로부터 무례함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관한 학교급별 교사 인식 차이
- 미국 브릿지스쿨 취학전 학급 보완대체의사소통, 보조공학, 대뇌피질성시각장애 중재 현황 연구
-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 큰나무 캠프힐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삶과 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활용한 장애인권교육이 유아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다문화효능감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국 대학생 진로결정 능력의 진단척도 타당화 연구
- 교육민영화 추구 원리에 기반한 홈스쿨링의 교육적 원리 탐색
-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전문대학 여학생의 공감역량, 학교자부심, 우울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