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이용수 56
- 영문명
- A Study on the Possibility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School Autonomous Time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함정화(Jung-hwa Ham) 박창언(Changun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3호, 331~34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편성과 운영에 대한 연구학교의 사례를 면담과 해당 자료를 토대로 가능성과 한계에 대해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2022 개정 교육과정 정책연구학교 A 초등학교 사례를 면담 연구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은 학생의 자기주도적 선택 기회의 제공 및 진로선택 관련 지원의 강화, 동아리 활동과 차별화된 교육과정 운영, 학교와 교사의 교육과정 개발 권환 확대이고, 학생 요구에 대응한 제한적인 선택, 교·강사 확보의 어려움, 활동이 아닌 과목 운영의 부재 등이 문제와 과제로 나타났다.
논의 결과: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정책연구학교 사례에서 나타난 결과에서 교사의 교육과정 설계나 개발에 대한 전문성 강화, 학교 시설과 재정 등의 적극적 지원 등이 요청되었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of elementary school autonomous school time organization and operation based on interviews and data from research schools.
Method: The 2022 Revised Curriculum Policy Research School used the interview research method to study the case of A elementary school.
Results: Possibilities include providing opportunities for students to make self-directed choices and strengthening support related to career choice, differentiating themselves from club activities, and expanding the authority of schools and teachers to develop curriculum, limited choice of student needs, difficulties in securing instructors, and subjects that are not activities. The lack of operation appeared to be a challenge.
Conclusion: As a result of elementary school autonomous school hours, strengthening of teachers' expertise in curriculum design and development and active support for school facilities and finances were requ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
Ⅳ. 학교자율시간의 문제와 한계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6권 제3호 목차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협업도구 활용 사례연구
- 지역고용담당자의 업무수행 기간, 지각된 역량수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육 커먼즈의 진화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
- 학부모와 학생으로부터 무례함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관한 학교급별 교사 인식 차이
- 미국 브릿지스쿨 취학전 학급 보완대체의사소통, 보조공학, 대뇌피질성시각장애 중재 현황 연구
-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 큰나무 캠프힐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삶과 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활용한 장애인권교육이 유아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다문화효능감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국 대학생 진로결정 능력의 진단척도 타당화 연구
- 교육민영화 추구 원리에 기반한 홈스쿨링의 교육적 원리 탐색
-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전문대학 여학생의 공감역량, 학교자부심, 우울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