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이용수 26
- 영문명
- A Meta-Analysis of Parent Education Programs to Improve Parenting Efficacy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조영희(Younghee Cho)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3호, 235~26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실시된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중재연구를 메타분석하여 전체 효과크기와 효과크기에 영향을 준 관련 변인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 설정한 포함 및 배제준거에 따라 실험-통제집단 설계 연구 59편을 최종 선정하였으며, 2043명의 부모에 대한 63개의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 양육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크기는 1.196로 매우 큰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부모관련 변인 및 자녀관련 변인에 따른 효과크기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ZOOM을 활용한 중재가 가장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고, 부모의 역량강화을 위한 중재와 7~12주 실시한 중재가 높은 효과크기를 보였다.
논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부모의 전반적인 역량 강화, 적정 기간의 대면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부모 양육효능감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overall effect size and related variables that influenced the effect size by meta-analyzing intervention studies on parenting efficacy conducted in the last decade.
Method: Based on our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we selected 59 experimental-control group design studies and analyzed 63 effect sizes for 2043 parents.
Results: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parenting efficacy promotion program was 1.196, which is a very large effect size. There was no difference in effect size by parent-related and child-related variables, but interventions using Zoom had the highest effect size and interventions that focused on parent empowerment and interventions that lasted 7 to 12 weeks had the highest effect size.
Conclusion: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effectiveness for a parenting efficacy promotion program consisting of a face-to-face program and appropriate duration to strengthen parents' overall capabilit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6권 제3호 목차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협업도구 활용 사례연구
- 지역고용담당자의 업무수행 기간, 지각된 역량수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육 커먼즈의 진화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
- 학부모와 학생으로부터 무례함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관한 학교급별 교사 인식 차이
- 미국 브릿지스쿨 취학전 학급 보완대체의사소통, 보조공학, 대뇌피질성시각장애 중재 현황 연구
-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 큰나무 캠프힐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삶과 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활용한 장애인권교육이 유아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다문화효능감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국 대학생 진로결정 능력의 진단척도 타당화 연구
- 교육민영화 추구 원리에 기반한 홈스쿨링의 교육적 원리 탐색
-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전문대학 여학생의 공감역량, 학교자부심, 우울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