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육 커먼즈의 진화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
이용수 21
- 영문명
- The Evolution of Educational Commons and Strategic Implications for Community-based Education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김민채(Min-Chae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3호, 19~44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교육 커먼즈 개념 진화 분석을 통해 마을교육공동체에서 교육 커먼즈의 가치를 재해석하고 당면한 한계들을 극복하기 위한 전략적인 시사점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국내외 연구논문 28편에서 교육 커먼즈 개념 관련 문장을 발췌하여 핵심 주제어를 추출, 이를 대상으로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Network Text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교육 커먼즈 개념은 지역 문화, 토착 지식을 보존하는 교육 프로그램에서 대안적 교육체제, 삶과 배움의 패러다임으로 진화했으며, 교육 공동체 구현 또한 지역 문화 프로그램에서 커먼즈를 재생산하는 학교, 자유주의적 학습 네트워크로 변화하였다. 이에 전략적 시사점으로 교육 커먼즈 관점에서의 마을교육공동체 재개념화 및 재구상의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논의 및 결론: 기존의 근대적 인식론에서 커먼즈적 세계관으로 전환하려는 이론적,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며, 구체적인 모델 구상에 Illich의 OW가 시사점을 줄 수 있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reinterprets the value of educational commons in community-based education and explores ways to overcome current limitations through an analysis of its conceptual evolution.
Method: This study selected key sentences related to the concept of the educational commons from 28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and conducted Network Text Analysis (NTA) on them.
Results: The concept of educational commons has evolved from local cultural and indigenous knowledge programs to alternative education systems, and further into a life and learning paradigm. Educational communities have shifted from local cultural programs to commons-based schools, and finally to liberal learning networks. Thus, reimagining community-based education through the lens of educational commons is essential.
Conclu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efforts are needed to shift from the existing modern epistemology to a commons-based worldview, and Illich's OW could provide insights for developing concrete model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및 절차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6권 제3호 목차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협업도구 활용 사례연구
- 지역고용담당자의 업무수행 기간, 지각된 역량수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육 커먼즈의 진화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
- 학부모와 학생으로부터 무례함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관한 학교급별 교사 인식 차이
- 미국 브릿지스쿨 취학전 학급 보완대체의사소통, 보조공학, 대뇌피질성시각장애 중재 현황 연구
-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 큰나무 캠프힐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삶과 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활용한 장애인권교육이 유아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다문화효능감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국 대학생 진로결정 능력의 진단척도 타당화 연구
- 교육민영화 추구 원리에 기반한 홈스쿨링의 교육적 원리 탐색
-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전문대학 여학생의 공감역량, 학교자부심, 우울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