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f Perceptions and Improvements in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부산대학교 지역혁신역량교육연구센터
- 저자명
- 고혜정(Hye-Jung Koh) 박재국(Jae-Kook Park)
- 간행물 정보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제6권 제3호, 351~37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중도중복장애학생 진로교육의 인식과 실태를 파악하고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실시되었다.
연구방법: 교원 104명, 장애학생부모 46명, 유관 기관 종사자 77명으로 총 227명이 설문에 답하였고, 응답내용은 대상자 집단에 따라 기초통계량 산출 및 차이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의미와 목적, 계획 수립, 내용구성에 있어 일상생활에서의 능력, 사회적응, 자립생활을 중요하게 생각하였고, 개별화된 교육 실행을 강조하였다. 둘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별도의 내용으로 구성된 진로교육 프로그램과 자료, 전문인력이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중도중복장애학생을 위한 진로교육의 개선방안 으로 개별 특성에 기초한 맞춤형 교육지원, 전문성 있는 교사 양성과 교육, 지역사회의 유관기관의 협업, 유기적 협의체 구성과 연계 등이 제시되었다.
논의 및 결론: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교육과 관련된 논의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perception and actual situation of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and to derive improvement measures.
Method: A total of 227 teachers, parent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lated organizations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 and basic statistics were calculated and differences were verified according to the target group.
Results: First, career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emphasized daily living skills, social adaptation, independent living, and individualized education. Second, there was a lack of programs, materials, and professionals with separate content for these students. Third, the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vocation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ere customized educational support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training and education of professional teachers, and collaboration with related organizations in the community.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paper presents discussions and implications in actual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결 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교육공동체연구와실천 제6권 제3호 목차
- 여성 지체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삶의 만족 사이의 종단적 관계
- 초등학생을 위한 에듀테크 기반 협업도구 활용 사례연구
- 지역고용담당자의 업무수행 기간, 지각된 역량수준, 직무만족 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교육 커먼즈의 진화와 마을교육공동체에 대한 전략적 시사점
- 학부모와 학생으로부터 무례함을 경험한 초임교사들의 인식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지역교육공동체의식에 관한 학교급별 교사 인식 차이
- 미국 브릿지스쿨 취학전 학급 보완대체의사소통, 보조공학, 대뇌피질성시각장애 중재 현황 연구
- 부모의 양육효능감 향상을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메타분석
- 큰나무 캠프힐에서의 발달장애인의 삶과 공동체 형성과정에 대한 문화기술지 연구
- 유니버설디자인 원리를 활용한 장애인권교육이 유아의 장애인권감수성과 장애수용태도에 미치는 효과
- 초등학교 고학년 아동의 다문화효능감과 민주시민의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 중국 대학생 진로결정 능력의 진단척도 타당화 연구
- 교육민영화 추구 원리에 기반한 홈스쿨링의 교육적 원리 탐색
- 초등학교 학교자율시간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전문대학 여학생의 공감역량, 학교자부심, 우울이 중도탈락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중도중복장애학생의 진로교육에 대한 인식 및 개선방안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