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인지-운동 연계 기반의 시니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이용수 13
- 영문명
- Development of Guidelines for a Senior Movement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Cognition-Motor Link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박혜진(Hye-Jin Park)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1호, 149~16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시니어 움직임교육 교육자 및 예비움직임교육자가 실제 교수-학습과정에서 자신만의 수업을 계획-설계-실행 단계에 활용 가능한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에 중점을 두고 실시하였다. 시니어 맞춤형 움직임 개발에 체계적으로 접근하기 위하여 라반의 움직임 분석 틀(LMA)에 제시된 4가지 요소를 활용하였다. 이 요소는 신체, 에포트, 세이프, 공간으로 구성되며, 다양한 상황 및 환경에 노출되어 신체적·인지적·정신적 영역에서 점진적 퇴화를 겪고 있는 시니어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시니어의 재진화와 회복을 목적으로 하는 새로운 움직임을 고안하였다. 노화에 따른 감각의 퇴화를 치료하기 위해[목적] 감각통합 이론에 제시된 주요 감각 체계 4가지를 사용하여[도구] 가이드라인(적용대상)을 개발한다. 이 때 새로운 움직임과 융합한 움직임 교육프로그램은 가이드라인 개발에 활용될 수 있다. 시니어 움직임교육자의 사고방식의 고정관념 틀을 흔들고 부수는데 영향을 주고자한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이다. 첫째, 기본적 움직임이다. 일상적인 움직임을 비이동·이동·조작움직임 분류 후 세부 움직임을 구성하였다. 둘째. 복합적 움직임이다. 분류된 기본적 움직임을 시니어 특성을 고려하여 퇴화적 감각 회복을 위한 교육적 의도성을 토대로 기본 움직임의 연합화 및 조직화에 따라 구성하였다. 셋째, 인지-운동 연계 기반 움직임이다. 감각통합 주요 감각 체계와 라반의 움직임 분석 틀 핵심 요소를 기본적·복합적 움직임에 적용하여 시니어의 일상적 움직임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고 이를 다시 진화하는 것에 중점을 둔 새로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으로 내용 요소를 구성하였다. 다양한 감각과 움직임 결합한 새로운 움직임 개발을 움직임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학습자 중심 움직임교육을 위해 교육자의 의도된 창의적인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 및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하였다. 즉 기존 획일적으로 교육자에서 주입하는 사고방식의 고정관념 틀을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니어 움직임교육에 대해 탐구하는 사고 전환이 교육의 질 향상에 중요하기 때문이다. 시니어 몸·머리·마음에서 겪는 퇴화적 경험을 새로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을 적용하여 시니어가 자기주도적으로 다시 진화하고자 하는 자유의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 인지-운동 연계 기반 시니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을 통하여 시니어 움직임 교육의 목적 및 목표를 새로운 관점에서 설정하고 교육자가 의도적으로 시니어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를 새로운 움직임 내용 및 방법 전환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된다. 후속 연구에서 시니어 움직임교육자의 전문성 함양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실재적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developing a movement education program guideline that senior movement educators and pre-service movement educators can apply to the planning-design-execution stages of their own classes in actual teaching-learning processes. To approach the development of senior-specific movement systematically, the study utilized the four elements presented in Laban Movement Analysis (LMA). These elements consist of Body, Effort, Shape, and Space, and were targeted at seniors experiencing gradual deterioration in physical, cognitive, and mental domains due to exposure to various situations and environments. Through this approach, new movements were designed with the purpose of promoting re-evolution and recovery of seniors. To address sensory decline associated with aging, the study applied the four major sensory systems suggested in sensory integration theory to develop guidelines that can be utilized for creating movement education programs that integrate these sensory systems with new movements. The aim was to challenge and break the fixed mindset frameworks of senior movement educators through this movement education program guideline. First, the guideline includes basic movements, classified into non-locomotor, locomotor, and manipulative movements, which are then further subdivided into specific movements. Second, it includes complex movements, which are structured through the integration and organization of basic movements, with an educational intention focused on sensory recovery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seniors. Third, it presents cognitive-motor integrated movements, in which the major sensory systems of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the key elements of Laban’s framework are applied to the basic and complex movements. This component emphasizes understanding seniors’ daily movements concretely and aims to support their re-evolution through a newly conceptualized movement education program guideline. By combining various senses and movements from a movement education perspective, the study emphasizes the necessity and importance of developing creative, educator-driven movement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learners. This is because shifting the mindset from the conventional, standardized educator-driven approach to a more diverse and creative exploration of senior movement education is essential for enhancing educational quality. A new movement education program that considers the degenerative experiences of the senior body, mind, and spirit is needed-one that can positively influence seniors’ autonomy and free will in their re-evolution. Through the cognitive-motor integrated senior movements education program guideline proposed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purpose and objectives of senior movement education can be redefined from a new perspective, thereby positively influencing what and how educators teach seniors through new content and method transformations. This guideline is anticipated to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developing practical training programs in future research aimed at enhancing the professionalism of senior movement educator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인지-운동 연계 기반 시니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의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기대와 현실
- 인지-운동 연계 기반의 시니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 특수체육 현장의 ICT 기반 스포츠용품의 활용 현황 및 요구: 발달장애 특수학교 및 학급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Multicomponent Exercise on Balance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Effect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and manual therapy focusing on the upper cervical spine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dizziness
- 산업물리치료사의 근무조건 실태분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지 강화 운동이 여성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저주파 자극 및 근적외선을 활용한 요실금 예방 및 관리 훈련기기가 골반 바닥근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 세계청소년우슈선수권대회 경기내용 분석 : 2024 제9회 대회를 중심으로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용한 발달장애 청소년 스포츠 활동 사례연구: 실효성 분석과 활용 가능성
- 대한민국 지역사회 구성원의 흡연 및 음주 생활습관과 여가·레저 참여 여부, 자연환경 만족의 관계 연구
- 장애인 은퇴선수 취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노인에 대한 젊은 세대의 시각과 노인의 자기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