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의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기대와 현실
이용수 16
- 영문명
- Experiences of Korean Elderly Living Abroad Using Korean Medical Services: Expectations and Reality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윤은숙(Eun-Suk Yun)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1호, 103~112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의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고, 이들이 기대하는 의료서비스와 실제 경험하는 현실 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많은 한국 노인이 해외에서 생활하면서도 한국 의료서비스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이 한국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겪는 주요 경험과 어려움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였다. 미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한국 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하였으며,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기대와 현실 간의 차이, 개선 필요성 등에 대한 생생한 경험을 수집하였다. 면담 자료는 주제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주요한 패턴과 주제를 도출하였다. 또한, 연구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참여자의 진술을 반복적으로 확인하고, 유사한 연구와의 비교를 통해 결과의 일관성을 검토하였다.
연구 결과는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은 한국 의료서비스의 신속성과 높은 의료 수준을 기대하고 있었으며, 특히 해외 의료체계와 비교할 때 한국 의료진과 원활하게 소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몇 가지 문제점이 확인되었는데 첫째, 국민건강보험 미적용으로 인해 의료서비스 이용 시 높은 경제적 부담이 발생하였다. 둘째, 한국 의료기관의 신속한 진료 시스템이 오히려 의료진과의 상담 시간을 제한하여 충분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불만이 제기되었다. 셋째, 미국 의료체계에서 경험한 환자 중심(patient-centered) 접근과 달리, 한국의 의료서비스는 여전히 의료진 중심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강해 해외 거주 노인들에게 익숙하지 않은 방식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개선 방안을 제안한다. (1) 일정 기간 해외 거주한 한인들에게 단기 체류 시 국민건강보험 가입을 허용하는 방안 검토, (2)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을 위한 의료정보 제공 강화 및 온라인 플랫폼 구축, (3) 노인 친화적 의료서비스 도입. 이러한 정책적 개선이 이루어진다면,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의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이 더욱 만족스러워질 뿐만 아니라, 의료 접근성이 강화되어 보다 포괄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의료체계 구축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s of overseas-residing Korean elderly individuals in utilizing healthcare services in Korea and analyzes the gap between their expectations and the realities they encounter. Many Korean elderly individuals prefer Korean healthcare services even while living abroa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key experiences and challenges they face when seeking medical care in Korea.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was employ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se experience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2 Korean elderly individuals aged 65 and older residing in the United States, collecting firsthand accounts of their healthcare service usage, the discrepancies between expectations and reality, and areas for improvement. The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using thematic analysis to identify key patterns and themes.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repeatedly verified, and the results were cross-checked with similar studies for consistency.
The findings revealed that overseas-residing Korean elderly individuals had high expectations regarding the speed and quality of healthcare services in Korea. They particularly felt psychologically reassured by their ability to communicate smoothly with Korean healthcare providers compared to their experiences with foreign healthcare systems. However, several challenges emerged. First, the lack of health insurance coverage for overseas residents resulted in a significant financial burden when accessing healthcare services. Second, the fast-paced nature of Korea’s medical system limited consultation time with healthcare providers, leading to concerns about insufficient communication. Third, unlike the patient-centered approach commonly experienced in the U.S. healthcare system, Korea’s healthcare services remained predominantly physician-centered, which felt unfamiliar to many overseas-residing elderly individuals.
Based on these findings, implementing the proposed improvements could enhance the experiences of overseas-residing Korean elderly individuals in accessing healthcare services in Korea, improve medical accessibilit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a more inclusive and patient-centered healthcare system.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의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기대와 현실
- 인지-운동 연계 기반의 시니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 특수체육 현장의 ICT 기반 스포츠용품의 활용 현황 및 요구: 발달장애 특수학교 및 학급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Multicomponent Exercise on Balance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Effect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and manual therapy focusing on the upper cervical spine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dizziness
- 산업물리치료사의 근무조건 실태분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지 강화 운동이 여성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저주파 자극 및 근적외선을 활용한 요실금 예방 및 관리 훈련기기가 골반 바닥근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 세계청소년우슈선수권대회 경기내용 분석 : 2024 제9회 대회를 중심으로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용한 발달장애 청소년 스포츠 활동 사례연구: 실효성 분석과 활용 가능성
- 대한민국 지역사회 구성원의 흡연 및 음주 생활습관과 여가·레저 참여 여부, 자연환경 만족의 관계 연구
- 장애인 은퇴선수 취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노인에 대한 젊은 세대의 시각과 노인의 자기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