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특수체육 현장의 ICT 기반 스포츠용품의 활용 현황 및 요구: 발달장애 특수학교 및 학급 중심으로
이용수 14
- 영문명
- Current Utilization and Needs of ICT-Based Sports Equipment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Focusing on special schools and special classes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운동재활복지협회
- 저자명
- 오아라(Ah-Ra Oh) 김경진(Kyung-Jin Kim)
- 간행물 정보
- 『운동재활·복지』제6권 제1호, 81~9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특수체육 현장에서 ICT 기반 스포츠용품이 발달장애 청소년의 체육 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 특수학교 및 특수학급에서 체육 수업을 담당하는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FGI)를 실시하였으며, ICT 기반 스포츠용품의 적용 현황과 교육적 효과, 수업 적용 시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을 심층적으로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현재 특수체육 현장에서 활용되는 주요 ICT 기반 스포츠용품은 닌텐도 Wii, 모션탭(MotionTab), 스마트 다트, AR/VR 스포츠, AI 코칭 시스템 등으로 나타났다. ICT 기반 스포츠용품은 운동 동기 유발, 기술 습득, 주의 집중력 향상, 운동 기록 및 평가의 측면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보였으나, 높은 비용과 공간 부족, 기술적 정밀도 부족 등의 문제점도 함께 확인되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ICT 기반 스포츠용품은 기존 체육 수업을 보완하는 형태로 활용되어야 하며, 운동 결과를 데이터화하여 맞춤형 피드백을 제공하는 방식이 효과적일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향후 발달장애 학생들의 체육 교육에서 ICT 기반 스포츠용품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적 및 실천적 방향성을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impact of ICT-based sports equipment on physical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settings. To achieve this,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as conducted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s responsible for physical education in special schools and adapted physical education classes. The study explored the current application, educational benefits, challenges, and potential improvements of ICT sports equipment in these settings. The findings revealed that commonly used ICT sports equipment includes the Nintendo Wii, MotionTab, smart dart, AR/VR sports, and AI coaching systems. These tools positively influenced motivation for physical activity, skill acquisition, attention enhancement, and exercise tracking and evaluation. However, several limitations were identified, including high costs, space constraints, and a lack of technical precision. To address these challenges, ICT sports equipment should be used as a supplementary tool rather than a complete replacement for traditional physical education. Additionally, integrating data-driven feedback mechanisms could further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se tools.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development of policies and practical strategies to improve the integration of ICT-based sports equipment in adapted physical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해외 거주 한국 노인의 한국 의료서비스 이용 경험: 기대와 현실
- 인지-운동 연계 기반의 시니어 움직임 교육프로그램 가이드라인 개발
- 특수체육 현장의 ICT 기반 스포츠용품의 활용 현황 및 요구: 발달장애 특수학교 및 학급 중심으로
- Effects of the Combination of Cognitive and Multicomponent Exercise on Balance and Neurocognitive Functions in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Effect of vestibular rehabilitation and manual therapy focusing on the upper cervical spine in patients with non-specific dizziness
- 산업물리치료사의 근무조건 실태분석과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 하지 강화 운동이 여성 노인의 보행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 저주파 자극 및 근적외선을 활용한 요실금 예방 및 관리 훈련기기가 골반 바닥근에 미치는 영향
- 중국 대학생의 심리건강에 대한 인식과 신체활동 결정요인: 건강신념 모형
- 세계청소년우슈선수권대회 경기내용 분석 : 2024 제9회 대회를 중심으로
-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적용한 발달장애 청소년 스포츠 활동 사례연구: 실효성 분석과 활용 가능성
- 대한민국 지역사회 구성원의 흡연 및 음주 생활습관과 여가·레저 참여 여부, 자연환경 만족의 관계 연구
- 장애인 은퇴선수 취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평가
- 노인에 대한 젊은 세대의 시각과 노인의 자기 인식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