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Regarding History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Focused on the Internalization and Externalization of Views on the Aim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보경(Bokyoung Kim) 박현숙(Hyunsook Park)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2호, 297~32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6,1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경력 역사교사 세 명의 수업과 초임교사 대상 수업 멘토링 경험을 분석하여, 교육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발휘되는 역사교사 수업전문성의 의미를 탐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교육 경험이 풍부한 세 명의 역사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하여 질적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을 중심으로 이루어졌고, 한 초임교사에 대한 수업 멘토링 역시 주요 자료 수집 방법으로 설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네 차례의 코딩을 통해 분석하였고, Creswell과 Poth(2018)의 전략을 활용하여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연구결과 역사교사의 수업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발휘되는 수업전문성의 양상에 주목하여 네 가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체화된 역사교육관을 일상적인 역사수업에서 일관적으로 실천할 수 있는 능력이 역사교사의 수업전문성을 예시하였다. 둘째, 수업전문성은 각 교사가 자신의 역사교육관을 긴 호흡에서 일관되게 실현하고, 역사교육관의 일관된 발휘를 탐지할 수 있는 감식력으로 드러났다. 셋째, 수업전문성은 이상적이라 여기는 역사교육관을 실제 수업 환경과 조율할 수 있는 적응력으로 나타났다. 넷째, 역사교육관을 성찰하고 정련하는 교사들의 지적 열정이 수업전문성의 일면으로 나타났다.
결론 역사교사의 수업전문성은 역사교육관을 체화하고, 이를 외면화하는 과정에서 발휘된다. 따라서 교사 교육과정 실행의 중요한 기준이 될, 교사의 역사교육관을 정련하는 과정이 교사교육 단계에서 구체화 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에 관련하여 역사과 교사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ctual manifestation of history teache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the classroom.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involved three experienced history teachers with extensive backgrounds in history teacher training. Data were collected through participant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ith a particular focus on their mentoring processes with a novice teacher.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through four rounds of coding, and the validity of the analysis was ensured using strategies proposed by Creswell & Poth (2018).
Results: This study draws four main results. First, the ‘views on the aim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of teachers were deeply internalized by the individual teacher and serve as an important criterion in the entire process of teaching. Second, ‘views on the aim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could be detected when teachers accumulated the understanding of multiple classes. Third, teachers utilized adaptive capacity to reconcile ‘views on the aim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with the various elements of the classroom environment. Fourth, the three teachers were not content with their present teaching expertise and constantly devote themselves to developing their intellectual passions.
Conclusion: This study addressed the teaching professionalism of history teachers with internalized and externalized ‘views on the aims of school history education’ and suggests directions for history teacher training.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er Education Trends and Research in Europe
- 교원교육 제41권 제2호 목차
- 예비 교원을 위한 생성형 AI 중심 AI융합교육 교과목 운영 및 효과 분석
- 한국어교원의 교권과 교사핵심역량, 직업정체성, 전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 Impact of the Promotion System on the Academic Development of Young Faculty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 Case Study of S University in China
-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지지적 관계가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에 미치는 영향
- 중등 국어교사 효능감 분석
- 역사교육관을 중심으로 본 경력 역사교사의 수업전문성
- 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 태블릿 평가와 지면 평가에서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상황학습이론 기반 고등학교 ‘영미문학읽기’ 학습자의 문학적 능력 발달 과정 탐구
- 성호(星湖)의 가르치는 자로서의 면모 - 제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중심으로
-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교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요구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motions, Resilience, and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Teaching Practicum: The Perspective of Chinese Student Teachers
- 수도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전주기 경험과 종합 관리 체계 탐색
- 일본 사회 보수화의 구조: 사회적 다양성과 정당의 적응, 아래로부터 보수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