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Difference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between Tablet-Based and Paper-Based Assessment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한솔(Hansol Lee)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2호, 71~8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최근 교육 현장에서 디지털 기기의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디지털 기기의 교육적 활용은 이점뿐만 아니라 문제점도 있으며, 이점과 문제점을 체계적으로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태블릿 평가와 지면 평가에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초등학교 6학년 두 개 학급을 대상으로 연구가 진행되었다. 한 학급은 태블릿 평가를, 다른 한 학급은 지면 평가를 실시하였다. 동일한 PDF 파일을 출력매체만 달리하여 진행하였으며, 국어와 수학 성취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독립표본 t-검정 및 이원분산분석을 통해 두 집단의 성취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국어 평가에서는 태블릿 평가보다 지면 평가 성취도가 유의하게 높았지만, 수학 평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국어 평가에서 서술형 문제가 비서술형 문제보다 평가 매체의 영향을 더 크게 받았으며,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평가 매체에 따른 점수 편차가 더 컸다.
결론 읽기 평가에서 디지털 기기 활용 자체가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회상이 중요한 평가에서는 학습 매체와 평가 매체의 일치가 필요하다. 또한 쓰기 평가에서는 여학생이 디지털 기기 활용 평가에 더 부정적인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in academic achievement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en assessed using tablet-based versus paper-based evaluations.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two sixth-grade classes. One class completed assessments using tablets, while the other used paper-based assessments. The same PDF file was used, with only the medium of presentation differing. Academic achievement in language and mathematics was evaluated, and achievement differe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s and two-way ANOVA.
Results: Language scores were significantly lower on tablets than on paper, while math showed no difference. Moreover, in language, descriptive questions were more influenced by the evaluation medium than short-answer questions, and female exhibited greater score variation due to the medium compared to male.
Conclusion: The use of digital devices in assessments may negatively impact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with female being more likely to be affected than male. Additionally, aligning instructional and assessment mediums is necessary to ensure validit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er Education Trends and Research in Europe
- 교원교육 제41권 제2호 목차
- 예비 교원을 위한 생성형 AI 중심 AI융합교육 교과목 운영 및 효과 분석
- 한국어교원의 교권과 교사핵심역량, 직업정체성, 전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 Impact of the Promotion System on the Academic Development of Young Faculty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 Case Study of S University in China
-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지지적 관계가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에 미치는 영향
- 중등 국어교사 효능감 분석
- 역사교육관을 중심으로 본 경력 역사교사의 수업전문성
- 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 태블릿 평가와 지면 평가에서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상황학습이론 기반 고등학교 ‘영미문학읽기’ 학습자의 문학적 능력 발달 과정 탐구
- 성호(星湖)의 가르치는 자로서의 면모 - 제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중심으로
-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교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요구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Emotions, Resilience, and Teacher Identity Formation in Teaching Practicum: The Perspective of Chinese Student Teachers
- 수도권 대학 외국인 유학생 전주기 경험과 종합 관리 체계 탐색
- 일본 사회 보수화의 구조: 사회적 다양성과 정당의 적응, 아래로부터 보수화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