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이용수  104

영문명
Research trends in Korean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th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the Korean Society for Teacher Education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곽영순(Youngsun Kwak) 김현종(Hyunjong Kim) 홍석영(Seok-Young Hong)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2호, 5~27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교육에서 강조하는 연구기반 교사교육의 맥락에서 한국의 교사교육 관련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두 개의 전문 학술지를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탐색하였다. 연구방법 한국교원교육학회에서 발간하는 한국교원교육연구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에서 발간하는 교원교육, 두 개 학술지에서 2000년 이래로 게재된 학술지 논문의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수집한 키워드는 Gephi 0.9.2를 활용하여 분석 후, 시각화하고 네트워크의 지형과 키워드 간 연결을 살펴보았다. 또한, 키워드 간 연결성을 바탕으로 군집화한 자료와 주요 토픽을 중심으로 에고네트워크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분석 결과 전체 네트워크에서는 예비교사, 초등교사, 교사교육 등의 키워드에서 높은 빈도가 나타났다. 또한, 네트워크의 유사도를 기반으로 총 7개의 하위 군집으로 분류하였다. 교사교육의 주요 토픽(교원정책, 예비교사, 교사전문성, 전문성개발, 교원평가, 교과전문성)을 중심으로 에고네트워크를 분석하여 세부적인 교사교육 연구 동향과 교육과정 개정 시기별 교사교육 관련 이론적, 담론적 지형을 파악하였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론, 실천, 성찰을 통합하는 연구 기반 교사교육으로의 개편 방향 설정, 교사경력 단계별 교사교육의 일관성 확보, 행위주체로서 교사들의 실천적 역량 함양 등에 대한 결론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in Korea in the context of research-based teacher education focusing on two specialized academic journals. Methods: Keywords from academic journal articles published since 2000 in two representative academic journals, the Korean Teacher Education Research published by the Korean Association for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ducation published by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ere collected. The collected keywords were visualized using Gephi 0.9.2, a network visualization program, and the topography of the network and the connections between keywords were examined. In addition, data clustered based on keyword connectivity and Ego networks created based on major topics were used as reference for interpretation. Results: The mai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keywords such as preservice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eacher education had high frequencies. In addition, the network can be classified into seven clusters based on the similarity of the network. By analyzing the Ego network centered on the sub-topics of teacher education (teacher policy, preservice teachers, teacher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development, teacher assessment, and PCK), we were able to identify detailed trends in teacher education research and theoretical and discursive landscapes related to teacher education by curriculum revision period. Conclus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we presented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or setting the direction for reforming teacher education into research-based teacher education that integrates theory, practice, and reflection, securing coherence in teacher education by stage of teacher career, and fostering teachers’ practical competencies as agents of ac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및 논의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곽영순(Youngsun Kwak),김현종(Hyunjong Kim),홍석영(Seok-Young Hong). (2025).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교원교육, 41 (2), 5-27

MLA

곽영순(Youngsun Kwak),김현종(Hyunjong Kim),홍석영(Seok-Young Hong). "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교원교육, 41.2(2025): 5-2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