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ongho(星湖)'s Characteristics as a Teacher : Focusing on the Letters sent to His Disciple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김성혜(Seong-Hye Kim)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2호, 143~1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조선후기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가르치는 자로서의 면모를 검토함으로써 가르침의 의미를 되새기고 오늘날 가르치는 자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자세에 대한 혜안을 얻고자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우선 『성호사설(星湖僿說)』, 『곽우록(藿憂錄)』등을 중심으로 가르침의 목적·내용·방법 등에 대한 성호의 생각을 검토하였고, 이를 토대로 윤동규(尹東奎), 안정복(安鼎福), 신후담(愼後聃) 등 여러 제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중심으로 실제 가르침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검토하였다.
연구결과 성호에게 있어서 가르침은 학문을 이루어 나가도록[成] 돕는[輔] 과정이고, 그 과정에서 가르치는 자는 지식과 지혜를 먼저 알고 깨달은 선지자(先知者)이자 선각자(先覺者)로 배우는 자를 안내하고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이러한 성호의 생각은 제자들에 대한 가르침에 보다 구체적으로 드러난다. ① 칭찬받기보다 오히려 경계하는 말을 듣고자 했고, ② 자기의 옳음을 주장하고 그것을 받아들이도록 강요하기보다 오히려 배우고자 했으며, ③ 제자의 학문적 성장에 대한 간절한 바람으로 그 학문의 진척 과정에 끊임없이 물음을 던졌고, ④ 제자들로 하여금 배운 내용을 그대로 수용하게 하기보다 수시로 의문을 제기하도록 했으며, ⑤ 개방적·관용적 자세로 서로 다른 의견을 존중하도록 했다.
결론 이러한 성호의 면모는 오늘날 가르치는 자에게 무엇보다 자각(自覺)과 배움[願學]의 자세의 중요성을 일깨운다. 가르치는 자는 자기의 부족함을 깨닫고 평생 배우기를 힘써야 한다. 그의 서한은 대부분 말미에 “어떻게 생각하십니까[如何]?”라는 물음으로 맺는다. 자기의 가르침을 무조건 받아들이도록 강요하지 않고 그 가르침에 대한 제자의 생각을 듣고 배우고자 했던 성호의 간절함이 오늘날 가르치는 자에게 절실히 요구된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flect on the meaning of teaching and gain insight into the mindset and attitude that today's teachers should have by examining the aspects of Seongho(星湖) Lee Ik(李瀷) in the late Joseon Dynasty as a teacher.
Methods: To this end, Seongho's thoughts on the purpose, content, and method of teaching, focusing on 『Seonghosaseol(星湖僿說)』, 『Gwakwoorok(藿憂錄)』 and other areas were first reviewed, and based on this, how the actual teachings were carried out, focusing on the letters sent to the disciples such as Yun Dong-gyu(尹東奎), An Jeong-bok(安鼎福), and Shin Hu-dam(愼後聃) were examined.
Results: For Seongho, teaching is a process that helps achieve learning, and in the process, the teacher must first possess knowledge and wisdom and play the role of guiding and assisting the learner. Seongho's thoughts were revealed more specifically in his teachings to his disciples.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contents of the letters, Seongho, as a teacher, ① wanted to hear warnings rather than praise, ② wanted to learn rather than assert his right and force disciples to accept it, and ③ possessed a sincere desire for the disciples’ academic growth, constantly asking about their progress in studying, and ④ encouraging disciples to raise questions frequently rather than allowing the disciples to accept what they had learned as it is, ⑤ they were encouraged to respect different views with an open and tolerant attitude.
Conclusion: This aspect of Seongho reminds today's teacher of the importance of self-awareness and the attitude of learning. Teachers must realize their own inadequacies and constantly strive to learn for the rest of their life. Most of Seongho's letters end with “What do you think [如何]?” The earnestness of listening to and learning the disciples' thoughts on the teachings without forcing them to accept his teachings unconditionally is desperately required for today's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성호에게 가르침의 의미: 학문을 완성하도록[成] 돕는[輔] 과정
Ⅲ. 성호의 가르침의 실제: 윤동규·안정복·신후담에게 보낸 서한을 중심으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er Education Trends and Research in Europe
- 교원교육 제41권 제2호 목차
- 예비 교원을 위한 생성형 AI 중심 AI융합교육 교과목 운영 및 효과 분석
- 한국어교원의 교권과 교사핵심역량, 직업정체성, 전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 Impact of the Promotion System on the Academic Development of Young Faculty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 Case Study of S University in China
-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지지적 관계가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에 미치는 영향
- 중등 국어교사 효능감 분석
- 역사교육관을 중심으로 본 경력 역사교사의 수업전문성
- 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 태블릿 평가와 지면 평가에서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상황학습이론 기반 고등학교 ‘영미문학읽기’ 학습자의 문학적 능력 발달 과정 탐구
- 성호(星湖)의 가르치는 자로서의 면모 - 제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중심으로
-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교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요구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