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a Generative AI-centered AI Convergence Education Course for Pre-service Teachers
- 발행기관
-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 저자명
- 이주영(Juyoung Lee)
- 간행물 정보
- 『교원교육』제41권 제2호, 55~69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 교원을 대상으로 생성형 AI 중심 AI융합교육 교과목을 설계·적용하여 교육적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교과목은 생성형 AI를 이해하고 활용하여 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AI 개념과 원리 이해, AI융합교육의 이론과 실제, 교과 기반 AI융합교육 사례 공유, 생성형 AI 이해와 실습, GATe 프레임워크를 적용한 교수·학습과정안 개발 등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교육 내용을 설계하였다. 교과목은 충청북도 소재 A대학교 사범대학 재학생인 예비 교원 74명을 대상으로 15주 동안 이론과 실습을 통해 적용하였고, 대응 표본 t-test를 통해 예비 교원의 AI융합교육 역량 변화와 교과목 전반의 만족도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수업에 참여한 예비 교원의 AI융합교육 역량의 ‘소양’, ‘활용’, ‘가치’ 모든 하위 요인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도로 향상되었고, 교과목 만족도 또한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설계·적용한 AI융합교육 교과목을 통해 예비 교원의 AI융합교육 역량 향상이라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예비 교원의 AI융합교육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커리큘럼, 교육 내용 설계 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sign and apply AI convergence education courses for pre-service teachers and analyze their educational effects.
Methods: The course focused on developing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generative AI and apply it to the educational field. To this end, the educational content was designed to allow for experiences such as understanding AI concepts and principles, the concept of AI convergence education, sharing of AI convergence education cases based on subjects, understanding and practicing generative AI, and developing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using the GATe framework. The course was applied through theory and practice for 15 weeks to 74 pre-service teachers. The changes in pre-service teachers' AI convergence education capabilities and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were confirmed through a pre- and post-matched sample t-test.
Results: All sub-factors of ‘knowledge’, ‘utilization’, and ‘value’ of AI convergence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class improved to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gree,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course was also high.
Conclusion: In this study, we confirmed the educational effect of improving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capacity of pre-service teachers through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course designed and applied. Based on this, we suggeste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and education content design to enhance the AI convergence education capacity of pre-service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Teacher Education Trends and Research in Europe
- 교원교육 제41권 제2호 목차
- 예비 교원을 위한 생성형 AI 중심 AI융합교육 교과목 운영 및 효과 분석
- 한국어교원의 교권과 교사핵심역량, 직업정체성, 전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 Impact of the Promotion System on the Academic Development of Young Faculty Based on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A Case Study of S University in China
-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지지적 관계가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에 미치는 영향
- 중등 국어교사 효능감 분석
- 역사교육관을 중심으로 본 경력 역사교사의 수업전문성
- 국내 교사교육 연구 동향: 교원교육, 한국교원교육학회를 중심으로
- 태블릿 평가와 지면 평가에서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차이 분석
- 상황학습이론 기반 고등학교 ‘영미문학읽기’ 학습자의 문학적 능력 발달 과정 탐구
- 성호(星湖)의 가르치는 자로서의 면모 - 제자들에게 보낸 서한을 중심으로
- 전문상담교사가 경험한 내담자와의 치료적 관계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장애인 교원의 고용 유지를 위한 요구분석 및 지원방안 연구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