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지지적 관계가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52

영문명
Associations between Motiva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Supportive Relationships, Teacher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among Low-Experienc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발행기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저자명
오혜정(Hyejeong Oh)
간행물 정보
『교원교육』제41권 제2호, 273~29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3.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 학교 내 지지적 관계,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 한국교육종단연구2013 1차년도 데이터를 활용하였으며,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을 담당하는 경력 5년 미만의 저경력 교사 447명을 대상으로 위계적 구조방정식 모델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세 가지 교직선택 동기 유형 중 내재적 가치는 교직 만족도와 수업방식에 가장 큰 정적 영향을 미쳤다. 내재적 가치 집단은 개인적 유용성 가치 집단보다 더 높은 교직 만족도를 보였으며(βs = .305 & .121 ps < .01), 개별화와 상호작용을 촉진하는 수업방식을 더 많이 활용하였다(βs = .166 & .188, ps < .01). 반면, 사회적 유용성 가치 집단은 개인적 유용성 가치 집단과 비교하여 직업환경 만족도와 수업방식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βs = -.019, .059, & -.036, ps = ns), 더 높은 직업 만족도를 보였다(β = .118, p < .05). 학교 내 지지적 관계는 교직선택 동기보다 교직 만족도와 수업방식을 설명하는 데 더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다. 특히 동료 교사 협력은 교직 만족도(βs = .304 & .420, ps < .001)와 수업방식(βs = .310 & .356, ps < .001)을 가장 강력하게 예측하였다. 학교장 지지는 교직 만족도에는 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나(βs = .224 & .356, ps < .01), 수업방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주지 못했다(βs = .125 &.122, ps = ns). 그러나 학교장 지지는 동료 교사 협력과 수업방식(상호작용) 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하여, 학교장 지지가 평균 이상으로 높다고 지각될 때 동료 교사 협력이 수업방식(상호작용)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Bs = .16 & .31, ps < .001). 결론 이를 바탕으로 저경력 교사들의 교직 만족도를 향상시키고 수업방식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학습공동체 활동 활성화, 교사 동기 프로그램 개발, 지지적인 학교 분위기 조성 등의 이론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ssociations between motiva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supportive relationships in school, teacher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among low-experienc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Methods: Hierarchica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analyze 447 teacher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 who taught fifth-grade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included in the first wave of the KELS 2013 data. Results: Among the three types of motivation for choosing a teaching career, intrinsic value was the most strongly and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 satisfaction and instructional methods. The intrinsic value group reported higher teacher satisfaction(βs = .305 & .121 ps < .01) and utilized instructional methods for individualization and interaction more frequently(βs = .166 & .188, ps < .01) than the personal utility value group. The social utility value group showed non-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with the work environment and instructional methods(βs = -.019, .059, & -.036, ps = ns), but reported higher satisfaction with the profession(β = .118, p < .05) compared to the personal utility value group. Supportive relationships in school were more significant in explaining teacher outcomes than motivation to choose a teaching career. In particular, cooper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was the strongest predictor of both outcomes(βs = .304 - .420, ps < .001). Furthermore, principal support moderated the relation between cooper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and instructional method for interaction, such that only when teachers perceived principal support above average, cooperation with colleague teachers positively predicted instructional method for interaction(Bs = .16 & .31, ps < .001). Conclusion: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such as activating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developing teacher motivation programs, and creating a supportive school environment, were suggested to enhance teacher satisfaction and effectively support instructional methods for low-experienced tea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오혜정(Hyejeong Oh). (2025).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지지적 관계가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1 (2), 273-296

MLA

오혜정(Hyejeong Oh). "초등학교 저경력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와 지지적 관계가 교직 만족도 및 수업방식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41.2(2025): 273-2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