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민감성이 놀이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19
- 영문명
-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Play Sensitivity on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지영(Ji Young Kim) 윤진주(Jin Ju Youn) 김원경(Won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1호, 37~55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놀이는 유아의 삶이자 생활 방식이며 성장과 발달의 원동력이기 때문에 유아에게 필수적인 요소이다. 유아가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인 놀이는 유아교사의 놀이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민감성, 놀이권리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 놀이신념과 놀이민감성이 놀이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G광역시에 소재한 유아교육기관에 재직 중인 유아교사 167명이며, 연구도구는 놀이신념, 놀이민감성, 놀이권리인식 질문지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민감성 간에, 놀이신념과 놀이권리인식 간에, 놀이민감성과 놀이권리인식 간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놀이신념, 놀이민감성의 하위요인인 유아이해와 놀이관찰은 놀이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유아를 중심으로 한 놀이중심 교육과정이 유아교육현장에 안착하여 운영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유아교사의 놀이권리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유아교사의 놀이 관련 변인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Play is essential for young children because it is their life, their way of life, and the driving force of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Play, which is a natural right that children should enjoy, can vary depending on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play sensitivity, and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play beliefs and play sensitivity on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play sensitivity, and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and to verify the influence of play beliefs and play sensitivity on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The research subjects were 167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located in G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tools used were questionnaires on play beliefs, play sensitivity, and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8.0 program to perform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play beliefs and play sensitivity, between play beliefs and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and between play sensitivity and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in all subfactors. Second, the subfactor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beliefs and play sensitivity, child understanding and play observation, were found to be variables that affected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that they reveal the variables related to teachers’ play that influence their perception of the right to play at a time when play-centered education is being established and implemented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etting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대상 동기 연구의 국내 연구동향분석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의 발문 기술 유형 탐색: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어휘력, 가정양육환경, 어머니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PCK에 따른 영유아언어교육 대학교재 내용 분석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1호 목차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민감성이 놀이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 교사 전문성이 기관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 IPA분석을 활용한 숲유치원 체험공간에 대한 부모와 유아의 만족도와 중요도 분석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유아행복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다중매개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