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IPA분석을 활용한 숲유치원 체험공간에 대한 부모와 유아의 만족도와 중요도 분석
이용수 17
- 영문명
- Analysis of Parents' and Children's Satisfaction and Importance Regarding Forest Kindergarten Experience Spaces Using IPA Method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임정(Lim-Jung Lee) 신지연(Ji-youn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9권 제1호, 109~13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3.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체험 공간으로서의 숲유치원 장소성에 대한 현상학적 경험을 분석하기 위하여, 숲유치원에 재원 중인 유아와 부모의 만족도와 중요도를 IPA기법을 활용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서울 소재 숲유치원을 운영하고 있는 대학부속유치원의 3-5세 유아 178명과 부모 129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연구절차는, FGI(교수, 유아교사)를 통해 16개 장소(자연경관 10문항, 도시경관 6문항)를 선정하여 체험경관지표를 도출한 후, 이를 기초로 유아용/부모용 설문지를 구성하여 각 대상별로 만족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유아는 인공적인 시설보다 호수, 잔디밭, 숲, 자연 놀이터와 같은 자연적인 장소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 모두가 높아 현재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해야하는 공간으로 인식하였다. 특히 유아숲체험원, 줄놀이터 등과 같은 인공시설은 만족도와 중요도가 낮아, 다른 장소에 비해 우선순위에서는 뒤로 밀리지만 개선이 필요한 영역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도 호수, 계곡, 숲놀이터 등의 자연공간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가 높았으나, 부모는 안전하고 청결한 시설과 공간을 선호한 반면, 아동은 자유놀이와 모험이 가능한 숲 체험 장소를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부모와 유아가 인지하는 숲유치원 공간에 대한 만족도와 중요도의 우선순위 분석에 기초하여 향후 숲교육 공간을 개선하고 향상시키기 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the phenomenological experience of forest kindergarten as an experiential space by examining and analyzing the satisfaction and importance of parents and children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A total of 178 children aged 3-5 years and 129 parents from a university-affiliated kindergarten operating a forest kindergarten in Seoul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research process involved selecting 16 locations (10 natural landscapes and 6 urban landscapes) through a Focus Group Interview (FGI) with professors and early childhood teachers, deriving experiential landscape indicators, and then developing separate questionnaires for children and parents to assess their satisfaction and perceived importance. The results showed, first, that children exhibited high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or natural spaces such as lakes, grass fields, forests, and natural playgrounds, rather than artificial facilities. These spaces were perceived as areas that should be maintained in their current state. However, the forest experience center for young children and rope playground were rated lower in both satisfaction and importance, suggesting that while they were not a top priority, they required improvement. Second, parents also expressed high satisfaction and importance for natural spaces such as lakes, valleys, and forest playgrounds. However, while parents prioritized safe and clean facilities, children preferred forest experience spaces that allowed for free play and adventurous activities. Based on the priority analysis of satisfaction and importance recognized by parents and children, this study discusses strategies for improving and enhancing forest education spaces in the futur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 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유아 대상 동기 연구의 국내 연구동향분석
- 유아의 창의성 증진을 위한 유아교사의 발문 기술 유형 탐색: 질적 사례 연구를 중심으로
- 3세 유아의 어휘력, 가정양육환경, 어머니 양육행동이 초등학교 1학년 학업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 PCK에 따른 영유아언어교육 대학교재 내용 분석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제29권 제1호 목차
- 유아교사의 놀이신념과 놀이민감성이 놀이권리인식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 교사 전문성이 기관의 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에서 조직몰입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지지 매개효과
- IPA분석을 활용한 숲유치원 체험공간에 대한 부모와 유아의 만족도와 중요도 분석
- 유아교사의 감사성향과 유아행복간의 관계에서 교사-유아관계의 다중매개 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와 ChatGPT 생성 텍스트의 어휘 및 구문 특성 비교: 코퍼스 기반 분석
- Coh-Metrix를 활용한 한국·일본·중국인 EFL 학습자의 영어 에세이에 나타난 언어적 특성 비교 분석
- 디지털 도구 패들렛(Padlet) 기반 영어 자유 글쓰기: 쓰기 불안감 극복과 학습 성과 향상을 위한 전략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