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rom Hamlet to Misterman: The Dionysian Man on Stage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이형섭(Hyungseob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57권, 171~191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논문은 근현대 희곡작품 속에 등장하는 디오니소스적 인간을 추적하고 분석한다. 『비극의 탄생』에서 제시된 니체의 햄릿 논의를 출발점으로 삼고, 햄릿과 베케트의 『고도를 기다리며』에 등장하는 럭키를 니체의 비극론의 틀에서 비교 분석한다. 또한 이 논문은 니체적 관점에서 셰익스피어와 베케트를 관통하는 디오니소스적 인물의 조형을 계승하는 현대작가로 아일랜드 극작가인 엔다 월쉬를 선정하고, 그의 작품 속에 등장하는 디오니소스적 인간의 극적 위치와 의미를 밝혀본다. 이러한 논의는 비극성이 현대 희곡에서 발현되고 삭제되며 또 굴절되는 방식을 보다 다양하게 깊이 있게 이해한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담보한다.
영문 초록
Modern tragedy is marked by characters who suffer a sense of being caught or lost in a world where visionary grandeur cannot find its material base and is thus reduced to a relative value or sheer madness. In the end, the Dionysian hero falls into total silence or ends up in a whirlpool of self-destructive violence. This paper traces modern incarnations of the Dionysian man on stage whose visionary loneliness plays havoc on the tranquil appearance of the rationalized world. Taking Nietzsche’s account of Hamlet as the starting point, it establishes certain traits of the Dionysian hero such as linguistic hyperbole and frenetic motion that go in tandem with the confounding lethargy that forces the character to deviate constantly from the main dramatic action. The paper suggests that Lucky in Waiting for Godot is a modern successor of Hamlet, and it closes off with a discussion of the Dionysian man in Enda Walsh’s plays and his Misterman in particular.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Look at Two Modern Poets Yeats and Eliot
- William Butler Yeats’s Four Early Ballads
- The Role of Songs in Yeats’s The Resurrection
- (En)gendered There: Apocalyptic Women and Their Vexing Questions
- W. B. Yeats and Sterling A. Brown, the Irish and New Negro Renaissances, 15 and the Vernacular Performer
- 식민지 조선 문인들의 “The Lake Isle of Innisfree” 수용과 전유 - 김억, 김영랑, 한흑구, 정인섭을 중심으로
- The Poetics of Sublime in Yeats
- Yeats’s Ambivalence in The Hour-Glass as a Post-Mortality Play
- “Desecration and the Lover’s Night”: Tantric Iconography in W. B. Yeats’s Severed-Head Plays
- 텍스트 비평으로 읽는 예이츠의 『일곱 숲에서』
- Yeats’s Utopian Desire in “The Lake Isle of Innisfree” and “Byzantium”
- Vol. 57 Editor’s Note
- Becoming Modern: Pound and Yeats
- W. B. Yeats and Tragedy
- Yeats, Kristeva, and Bataille: A Reverie about Subalterns as Wastes
- Yeats’s Influence on Seamus Heaney: Focusing on Heaney’s Double Attitude toward Yeats
- From Hamlet to Misterman: The Dionysian Man on Stage
- “Tragic Joy” in W. B. Yeats’s and Kim Jong-gil’s Poems
- 예이츠의 가면극에 나타난 존재의 통합
- 예이츠의 「자아와 영혼의 대화」에 대한 선사상적 접근: 스즈키의 선을 중심으로
- [Book Review] Declan Kiberd. Inventing Ireland: The Literature of the Modern Na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