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The Poetics of Sublime in Yeats
이용수 0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예이츠학회
- 저자명
- 김영민(Youngmi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 예이츠 저널』57권, 84~97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언어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8.12.30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숭고는 미학과 밀접한 관계를 지닌 개념으로서, 대상에 대해 명상할 때에 우리의 정신과 육체의 정서적 감각에 광범위한 영향을 미친다. 롱자이너스는 숭고를 고양된 스타일을 재현하는 문학작품에서의 “숭고한 열정의 존재”로 정의하고, 에드먼드 버크는 거리감을 두고 자연의 파괴적 위력에 연관된 숭고의 경험에서의 고통과 즐거움에 초점을 맞추어 공포와 환희의 균형을 맞춘다. 칸트는 버크의 공포와 환희의 기이한 형태를 결합하고, 라깡은 프로이트와 칸트의 문맥에서 극단과 무한을 추구하여, 칸트의 숭고를 넘어서는 승화의 개념을 구성했다. 본 논문은 라깡의 숭고와 승화의 문맥에서 예이츠의 “비극적 환희”에 재현된 숭고를 예이츠의 시에서 찾아, 예이츠의 숭고의 시학을 살펴본다.
영문 초록
The sublime is a concept in close relationship with aesthetics. When we meditate about an object, it provokes a wide range of affective sensations in our mind and body. Longinus defines sublime feeling as “the presence of noble passion.” Focusing on the pain and pleasure of the sublime experience in relation to nature’s destructive powers, Burke balances the “terror” with “delight.” Kant clarifies the affectivity of the sublime, tempering Burke’s terror with a strange form of joy. Lacan pursues the excessive and the unbounded by engaging with Freud and Kant, and constructs the human subject in terms of an effect of language in relation to the concept of “sublimation” beyond the Kantian sublime. In the context of sublime and sublimation, I will demonstrate how the sublime and sublimation are represented in “tragic joy” in Yeats’s two poems.
목차
I. Introduction: The Genealogy of Sublime: Longinus, Burke, and Kant
II. Lacan’s Sublime and Sublimation
III. Yeats’s Poetry of Sublime and Sublimation: “The Gyres” and “Lapis Lazuli”
IV. Conclusion: The Sublime Poetics of Sublimation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A Look at Two Modern Poets Yeats and Eliot
- William Butler Yeats’s Four Early Ballads
- The Role of Songs in Yeats’s The Resurrection
- (En)gendered There: Apocalyptic Women and Their Vexing Questions
- W. B. Yeats and Sterling A. Brown, the Irish and New Negro Renaissances, 15 and the Vernacular Performer
- 식민지 조선 문인들의 “The Lake Isle of Innisfree” 수용과 전유 - 김억, 김영랑, 한흑구, 정인섭을 중심으로
- The Poetics of Sublime in Yeats
- Yeats’s Ambivalence in The Hour-Glass as a Post-Mortality Play
- “Desecration and the Lover’s Night”: Tantric Iconography in W. B. Yeats’s Severed-Head Plays
- 텍스트 비평으로 읽는 예이츠의 『일곱 숲에서』
- Yeats’s Utopian Desire in “The Lake Isle of Innisfree” and “Byzantium”
- Vol. 57 Editor’s Note
- Becoming Modern: Pound and Yeats
- W. B. Yeats and Tragedy
- Yeats, Kristeva, and Bataille: A Reverie about Subalterns as Wastes
- Yeats’s Influence on Seamus Heaney: Focusing on Heaney’s Double Attitude toward Yeats
- From Hamlet to Misterman: The Dionysian Man on Stage
- “Tragic Joy” in W. B. Yeats’s and Kim Jong-gil’s Poems
- 예이츠의 가면극에 나타난 존재의 통합
- 예이츠의 「자아와 영혼의 대화」에 대한 선사상적 접근: 스즈키의 선을 중심으로
- [Book Review] Declan Kiberd. Inventing Ireland: The Literature of the Modern Nation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