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新定牙州誌』의 편찬 과정과 내용 구성

이용수  27

영문명
The Compilation Process and Contents of the <>
발행기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저자명
이근호(Geun Ho Lee)
간행물 정보
『충청학과 충청문화』제37권, 351~37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1819년경에 편찬된 아산현의 읍지인 신정아주지(新定牙州 誌) 의 편찬 과정과 구성 내용 등을 추적한 것이다. 아산현의 읍지로 신정아주지 편찬 이전에 “구지(舊誌)”로 통칭되는 아술지(牙述誌) 가 편찬되었다. 아술지 는 1742년경에 편찬된 것으로, 이는 아산 지역 사 족의 존재를 부각하기 위해 편찬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1819년 “구지” 인 아술지 를 참고하여서 신정아주지 가 편찬되었다. 신정아주지 는 1819년 아산 현감으로 부임한 윤정식(尹鼎植)의 주도하에, 지역의 이호빈(李浩彬), 홍이도(洪履度) 등이 참여하여 편찬한 것이다. 새로 부 임한 윤정식이 지역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한 것으로, 신정아주지 는 다른 지리지와는 다르게 이전 아술지 와 다른 상황을 부기하였다. 아 울러 신정아주지 의 내용에서 특기할 점은, 일부 다른 지역의 읍지와 다르게 인물 관련 기록이 많다는 것이다. 다수의 충신이나 효자, 열녀 등을 수록함으로써 윤리 의식의 제고를 의도하였다. 또한, 다수 인물을 통해서 아산의 역사를 정리하였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traces the process and organization of ShinJeongajuji, the Eupji of the Asan region, which was compiled around 1819. Asulji, commonly referred to as “old eupji” was compiled before ShinJeongajuji was compiled in Eupji in the Asan region. Asulji was compiled around 1742 and was written to highlight the presence of local elites in the Asan region. ShinJeongajuji was compiled in 1819 with reference to Asulji, the “old eupji”. ShinJeongajuji was compiled under the leadership of Yoon JungSik, who was appointed provincial governor of Asan in 1819, with the participation of Lee HoBin, Hong Yido, and others in the region. The ShinJeongajuji was intended for the newly appointed Yoon Jung Sik to understand the actual situation in the region, and unlike other Eupji, the ShinJeongajuji bookkeeping wa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Asulji. What is also unique about ShinJeongajuji's content is that, unlike Eupji in some other regions, it has many records related to people. By including many loyal subjects, filial sons, virtuous women, it was intended to raise ethical awareness. It also organized the history of Asan through many characters.

목차

Ⅰ. 머리말
Ⅱ. 구 읍지, 『아술지』의 편찬자와 편찬 배경
Ⅲ. 『신정아주지』의 편찬 과정
Ⅳ. 『신정아주지』의 내용 구성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근호(Geun Ho Lee). (2024).『新定牙州誌』의 편찬 과정과 내용 구성. 충청학과 충청문화, (), 351-376

MLA

이근호(Geun Ho Lee). "『新定牙州誌』의 편찬 과정과 내용 구성." 충청학과 충청문화, (2024): 351-37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