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충청북도 매장유산의 보존 양상과 보존을 위한 인식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

이용수  32

영문명
A Study on the Conservation Patterns of Buried Cultural Heritage in Chungcheongbuk-do and Strategies for Enhancing Awareness of Its Conservation
발행기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저자명
지성운(Sung un Ji) 김영재(Young jae Kim)
간행물 정보
『충청학과 충청문화』제37권, 317~349쪽, 전체 33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충청북도 지역 내 매장유산의 보존에 관한 양상을 살펴봄 으로써, 매장유산의 보존에 직면한 문제를 인식했으며, 이후 매장유산 의 보존을 위한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그 결과, 충청북도 지역의 매 장유산 보존조치는 역사성과 시대성, 보존 상태를 중심으로 판단이 이 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매장유산은 ‘문화재’에서 ‘유산’으로 용어가 전환했음에도, 여 전히 역사나 문화의 연구 자료로써 인식이 강하며, 보존이 이루어졌어도 대부분의 활용은 단편적으로만 이루어졌다. 또한, 피해보상 미비, 관리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문화유산을 향유하는 대중의 관심을 저하했다. 이러한 이유로 매장유산의 보존에 관한 실질적인 제도적 개선이 요구 되지만, 여러 문제 때문에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도적 개선이 아닌 대중의 인식개선을 통한 매장유산의 보존 방안을 제안하고 자 한다. 특히, 영국의 문화유산 프로젝트 중 하나인 ‘미싱 피스 프로젝 트(Missing Pieces Project)’를 검토한 뒤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 프로젝트는 지역 공동체와 문화유산을 연결하는 데 도움을 주는 프로젝 트로, 이를 통해 매장유산과 이와 관련된 대중의 경험, 기억을 사회적으 로 공유하고, 지역사회 내 매장유산의 인식과 참여 촉진 방안을 제안하 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aspects of buried cultural heritage preservation in the Chungbuk area, recognized the challenges faced in conserving buried cultural heritage, and discussed measures to conserve buried cultural herit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buried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measures in the Chungbuk area are judged based on their historicity and age, and conservation status. Despite the shift in terminology from “cultural property” to “heritage,” buried heritage is still largely perceived as a evidence for historical or cultural research, with most of its utilization remaining fragmentary even after conservation efforts. Additionally, inadequate compensation and a lack of management personnel have contributed to declining public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For these reasons, substantial institutional improvements are needed for the conserv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but this is difficult due to various problems.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n alternative conservation approach through raising public awareness rather than focusing on institutional improvements. In particular, the Missing Pieces Project, an UK’s cultural heritage project, is reviewed and implications are drawn. This project helps to connect local communities with their cultural heritage, and proposes ways to socially share experiences and memories of buried cultural heritage, as well as ways to promote awareness and participation of buried cultural heritage in the community.

목차

Ⅰ. 머리말
Ⅱ. 매장유산의 개념과 보존조치
Ⅲ. 충청북도 지역 내 보존조치 된 매장유산의 현황과 유형별 보존조치 방식 비교
Ⅳ. 매장유산 보존을 위한 인식 제고 방안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지성운(Sung un Ji),김영재(Young jae Kim). (2024).충청북도 매장유산의 보존 양상과 보존을 위한 인식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 충청학과 충청문화, (), 317-349

MLA

지성운(Sung un Ji),김영재(Young jae Kim). "충청북도 매장유산의 보존 양상과 보존을 위한 인식 제고 방안에 대한 연구." 충청학과 충청문화, (2024): 317-34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