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양주 부평리 만세시위 재구성

이용수  0

영문명
Unearthing the Criminal Case Notifications and Reconstructing the March First Movement in Bupyeong-ri, Colonial Korea
발행기관
한국근현대사학회
저자명
서동일(Dong-il SEO)
간행물 정보
『한국근현대사연구』제113집, 39~87쪽, 전체 49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6.30
8,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양주군 진접면의 『범죄사건통지서』(이하 ‘통지서’) 수록 문건들을 학계에 소개해 3.1운동 연구에 편의를 제공할 목적으로 준비되었다. 『통지서는 1910~1940년대 경기도 양주군 진접면사무소가 형사처분 기관으로부터 받은 통지서들을 모아 만든 문서철이다. 이런 유형의 문서철은 전국적으로 보고된 것이 드물고, 그동안 독립운동사 연구자들이 활용해 온 『범죄인명부』의 제작 근거가 되는 자료여서 더욱 주목된다. 이에 따르면, 1919년 3월 진접면 부평리 만세시위는 총 200여 명의 부평리 주민이 참여했고, 이 중 89명이 체포되어 형사처분을 받을 정도로 강한 탄압을 받았다. 수형자 89명 중 30~40대 중년이 다수를 점유했고, 혈연관계를 기반으로 한 집단적 참여가 확인되었다. 77명은 경성헌병분대 장현리출장소에서 태형 (대개 60도)이 집행되었는데, 엄격한 관련 법령에도 불구하고, 통상의 적용 대상이 아닌 10대 초중반 인물들에게 태형이 집행된 사실이 확인되고, 집행 이후 후유증으로 인한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무단통치의 잔영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presents a previously unexamined archival collection titled Criminal Case Notifications(Beomjoe Sageon Tongjiseo), compiled by the Jinjeop-myeon Office in Yangju-gun, colonial Korea, with the aim of enriching researches on the March First Movement. The collection consists of official notifications received from criminal justice authorities between the 1910s and 1940s. Such compilations have rarely come to light, and this particular volume is especially significant for preserving original source material directly related to Korea’s independence movement. The documents reveal that in March 1919, a large-scale Independence movement took place in Bupyeong-ri, Jinjeop-myeon, with participation from over 200 local residents. Of these, 89 individuals were arrested and subjected to criminal sentencing. Most of those punished were 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and the records point to patterns of collective mobilization rooted in kinship ties. Of the 89 individuals sentenced, 77 received corporal punishment administered at the Janghyeon-ri branch of the Gyeongseong Military Police. Despite formal legal restrictions, flogging was imposed on several boys in their early to mid-teens. One of the detainees reportedly died later that year from complications related to the punishment, and there is testimony that one of the protest leaders was subjected to brutal torture. These accounts underscore the lingering shadow of the repressive military rule that characterized the 1910s, persisting still in 1919.

목차

1. 머리말
2. 『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수록 문서
3. 3월 31일 부평리 만세시위의 재구성
4. 시위 참여자 형사처분 및 사후 관리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동일(Dong-il SEO). (2025).『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양주 부평리 만세시위 재구성. 한국근현대사연구, (), 39-87

MLA

서동일(Dong-il SEO). "『범죄사건통지서』 발굴과 양주 부평리 만세시위 재구성." 한국근현대사연구, (2025): 39-8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