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공주지역 봉수의 입지와 통신체계에 대한 고고 지형학적 검토

이용수  36

영문명
Archaeo-geomorphological review of the positioning and communication systems of the Gongju region's defenses
발행기관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저자명
허의행(Ui Hang Heo)
간행물 정보
『충청학과 충청문화』제37권, 293~316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인문학 > 역사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무료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공주지역 봉수의 입지 특징을 고고학의 지형학적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공주지역에는 월성산, 고등산, 쌍령산 등 3개소의 봉수가 알려져 있으며, 이들은 10-15km의 직선거리를 두고 입지한다. 일반적으로 봉수는 신호 전달의 효율성을 위해 가장 높은 산지 정상부 를 선호하나, 공주지역의 봉수들은 이러한 전형적 입지 특성과 조금의 차 이를 보인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수치지도를 활용한 3차원 지형분석, 가 시권 분석, 소리 전달 범위 분석 등을 통해 이러한 특징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공주지역의 봉수는 시각적 신호 전달의 한계를 보완하기 위 해 소리 전달과 파발 체계를 고려한 입지 선정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 다. 특히 역참과 역원의 위치를 고려한 입지 선정도 고려한 모습인데, 이 는 고지형 분석과 고지리 자료를 통해 검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공주 지역 봉수 체계는 단순한 시각적 신호 전달뿐만 아니라, 소리, 역참, 역원 등의 여러 보완적 통신체계를 포함한 종합적 관점에서 입지가 선정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다만 봉수와 여러 통신 보완 체계의 모습은 추후 동 시대와의 관련성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s the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beacon mounds (bongsoo) in the Gongju region from an archaeological and paleotopographical perspective. Three beacon mounds are distributed in the region - Wolseongsan, Godeungsan, and Ssangryeongsan - maintaining linear distances of 10-15km between them. While beacon mounds typically prefer the highest mountain peaks for efficient signal transmission, those in the Gongju region show some deviation from this pattern. Through three-dimensional terrain analysis using digital maps, viewshed analysis, and sound transmission range analysis, this study examines the background of these characteristics. The results show that the location selection of Gongju's beacon mounds considered sound transmission and dispatch systems to complement the limitations of visual signal transmission. In particular, the locations were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post stations (yekcham) and post houses (yeokwon), which was verified through paleotopographical analysis and historical geographical data. This research reveals that the beacon system in the Gongju region was established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that included complementary communication systems rather than simple visual signal transmission alone.

목차

Ⅰ. 머리말
Ⅱ. 공주지역 봉수와 지리적 입지 환경
Ⅲ. 입지를 통해 본 봉수의 신호전달 체계
Ⅳ.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허의행(Ui Hang Heo). (2024).공주지역 봉수의 입지와 통신체계에 대한 고고 지형학적 검토. 충청학과 충청문화, (), 293-316

MLA

허의행(Ui Hang Heo). "공주지역 봉수의 입지와 통신체계에 대한 고고 지형학적 검토." 충청학과 충청문화, (2024): 293-31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