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조직의 정치적 분위기가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6
- 영문명
- The Impact of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Politics on Public Service Motivation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유효은(Hyo Eun Yu) 박상진(Sang Jin Park)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4호, 223~25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경찰관을 대상으로 조직 내 정치적 분위기에 대한 인식이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계급에 따른 조절효과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경찰관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회귀분석 및 조절분석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공공봉사동기의 하위요인인 공익몰입과 자기희생이 조직정치지각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관계는 계급에 따라 다른 방향을 보였는데, 낮은 계급의 경찰관은 조직정치지각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가 낮아졌고, 높은 계급의 경찰관은 조직정치지각이 높을수록 공공봉사동기가 높아지는 반대의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 내 권한과 자원에 대한 접근성, 정치적 환경에서의 위치 차이가 경찰관의 조직정치 인식 및 공공봉사동기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이 연구는 경찰 조직 내 공정한 의사결정 구조 강화와 계급별 맞춤형 리더십 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공공봉사동기 강화 방안에 대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se how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political elements within their organisation affect their public service motivation and examines the moderating effect of rank. A survey of police officers was conducted, and regression and moderation analyses were applied. The results showed that two subfactors of public service motivation—commitment to the public interest and self-sacrifice—varied according to perceptions of organisational politics. Particularly, rank played a moderating role in these relationships: lower-ranking officers exhibited decreased public service motivation as their perception of organisational politics increased, whereas higher-ranking officers demonstrated a tendency to show higher public service motivation under similar circumstanc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ifferences in authority and resource accessibility, as well as one's position within a political environment, significantly influence police officers' perceptions of organisational politics and their public service motivation. The study underscore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fair decision-making structures in police organisations and implementing rank-specific leadership training. Additionally, it provides policy recommendations to enhance public service motivation.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직의 정치적 분위기가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 경찰 독직폭행죄 개정 필요성에 관한 연구: 경찰 물리력 사용 상황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경찰에 대한 가치관적 지지가 지역치안활동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경찰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의 갈등관리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찰공무원의 환경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회복적 사법으로서의 형사조정제도 고찰
- 시민의 경찰정당성 인식이 AI CCTV 기술수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경찰착용기록장치의 사용방안 고찰
- 여성 경찰관 근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용자 경미범죄에 대한 즉결심판절차 적용방안
- 절차적 정의에 관한 국민의 인식이 경찰 수사권 지지에 미치는 영향
- 강간사건 처벌 판단에 피고인 및 피해자의 민족성과 판단자의 성별이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