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여성 경찰관 근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이용수 12
- 영문명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female police officers’ work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공안행정학회
- 저자명
- 정의롬(Eui Rom Jung)
- 간행물 정보
- 『한국공안행정학회보』제33권 4호, 335~3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여성 경찰관의 비중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여성 경찰관을 대상으로 한 연구 역시 꾸준히 수행되고 있다. 특히 여성 경찰관은 가정과 일을 병행하는 주요 주체로서 이들의 근무만족 향상은 사회적으로도 매우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 경찰관의 근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제주 지역에서 근무하고 있는 여성 경찰관을 대상으로 근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파악하였다. 근무만족과 관련한 다수의 선행연구에서는 임금, 감독, 직업환경, 복리후생 등과 관련한 요인들을 중심으로 근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최근에 근무만족에 중요시되는, 의사소통, 자기개발 등의 요인을 검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성 경찰관을 대상으로 승진, 자기개발, 직업의식, 의사소통과 근무만족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여성 경찰관의 근무만족에 승진 및 의사소통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여성 경찰관의 근무만족에 있어서 자기개발과 직업의식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 중에서 직업의식 그리고 자기개발 순으르 여성 경찰관의 근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 경찰관의 근무만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무적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문적이고 실무적인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propor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is increasing, and research on female police officers is being conducted consistently. In particular, research on the work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is considered important as they work and home at the same time. In this study, we sough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work satisfaction among female police officers. 이에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work satisfaction among female police officers in the Jeju region. Many previous studies related to work satisfaction have ver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work satisfaction, focusing on factors related to wages, supervision, job environment, and welfare benefits. However, this study sought to verify factors such as communication and self-development that have recently been considered important for work satisfaction. Accordingly, this study tes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romotion, self-development, professional awareness, communication, and work satisfaction among female police officers. As a result of the study, promotion and communication were found to b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ddition, self-development and professional awarenes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the work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and among these, professional awareness and self-development were investigated in the order of their influence on the work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ial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policy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the work satisfaction of female police officers. It is expec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can be used as basic academic and practical dat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 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직의 정치적 분위기가 경찰관의 공공봉사동기에 미치는 영향
- 경찰 독직폭행죄 개정 필요성에 관한 연구: 경찰 물리력 사용 상황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 경찰에 대한 가치관적 지지가 지역치안활동 참여의지에 미치는 영향: 경찰 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경찰조직의 갈등관리 유형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 경찰공무원의 환경적합성이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 회복적 사법으로서의 형사조정제도 고찰
- 시민의 경찰정당성 인식이 AI CCTV 기술수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 경찰착용기록장치의 사용방안 고찰
- 여성 경찰관 근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용자 경미범죄에 대한 즉결심판절차 적용방안
- 절차적 정의에 관한 국민의 인식이 경찰 수사권 지지에 미치는 영향
- 강간사건 처벌 판단에 피고인 및 피해자의 민족성과 판단자의 성별이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행정학분야 NEW
- 한국지방행정학보 제22권 제1호 목차
- 상호주관성(intersubjectivity)의 측면에서 지방정부 사회자본 주요지표의 IPA 분석 - Seo et al(2024) 모형에 대한 인천광역시 사례의 적용
- 전략적 인적자원관리와 혁신행동 간의 관계 - MZ세대 공무원을 중심으로 한 공직가치의 매개효과 분석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