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inese Jingshan Tea Ceremony (徑山茶宴) as a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 From 'Qinggui'(淸規) to Digital Tourism Resources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김성순(Sung Soon Kim) 엄영욱(Young Uk Um)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8집, 185~20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경산차연(徑山茶宴)은 2011년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고, 2022년에는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대표 목록에 포함되었다. 이 의식은 불교가 중국화되는 과정에서 민간의 다탕 의례를 수용하고, 유교의 주례와 동등한 의미로 설정되었다. 송대에 들어서면서 선종사원의 다탕 의례가 명확히 나타났고, 경산차연은 항주 여항의 경산사에서 승려와 내빈에게 차를 접대하는 의식으로 발전했다. ‘경산차연’이라는 명칭은 현대에 연구 및 복원 과정에서 만들어졌으며, 중국 정부의 문화발전계획에 따라 재발명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전문 연구진이 10여 개의 절차를 구성하고, 문헌 수집, 기물 복원, 차연 공간 개조 등의 작업이 진행되었다. 또한, 경산의 자연공간을 활용한 관광 패키지와 차 문화를 융합하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경산차연은 쇠멸한 다탕의례를 복원하여 국가급 비물질문화유산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함으로써 문화 보존과 활용을 위한 국가 전략의 일환으로 자리잡고 있다.
영문 초록
In 2011, the Jingshan Tea Ceremony was included on the third national list of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rtifacts and was selected as a representative of “Traditional Chinese Tea Manufacturing Techniques and Related Folklore” for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Representative List in November 2022.
The popular tea ceremony was incorporated during the process of the sinicization of Buddhism, establishing related etiquette on par with Confucian rituals. As Zen Buddhist temples spread in southern China during the Tang dynasty, a trend naturally emerged among monks to combine meditation practices with tea. By the Song dynasty, the writing and transmission of temple regulations clearly reflected the Buddhist tea ceremony. The temple's tea ceremony appears in rituals of Buddhist offerings, ceremonies, and hospitality. The Jingshan Tea Ceremony is a cultural practice that involves serving tea to guests and monks at the Jingshan Temple located in Hangzhou Yuhang.
In the daily lives of monks, tea served various purposes and was an essential medium for interactions with outsiders. The term 'Jingshan Tea Ceremony' itself was created through this study, and restoration of the tea rites of the Jingshan Temple was restored in modern times, indicating that it has been 'reinvented' or 'reinterpreted' as part of China's 21st-century cultural development plan.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the tea ceremony into the Jingshan Tea Ceremony, over ten procedures were established by expert researchers, including the collection and classification of literature, verification and restoration of utensils, and renovation of the tea ceremony space. Additionally, efforts are underway to integrate Jingshan tea culture into cultural tourism packages linked to the natural landscape of Jingshan and artifacts related to the tea sage Lu Yu.
Ultimately, the restoration (or recreation) of the Jingshan Temple's tea ceremony, leading to its designation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and inclusion in the UNESCO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list, reflects a national cultural strategy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목차
Ⅰ. 서론
Ⅱ. 경산차연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
Ⅲ. 경산사 다탕 의례의 변모
Ⅳ. 문화관광자원으로서의 경산차연의 활용
V.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中国古代绘画中的文人袒裸形象研究 - 基于皮尔斯符号三分法视角
-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중국 徑山茶宴 - ‘청규(淸規)’에서 디지털 문화관광으로의 전개
- 土 오행 墓庫論의 연원과 변천 고찰
- 王振鵬이 그린 「孔子聖蹟圖」의 眞僞에 관한 고찰 - 그림의 序와 題跋을 중심으로
- 한국어 祖語가 한자 창제에 미친 영향 - ‘不聲’系字, ‘丕聲’系字, ‘否聲’系字, ‘咅聲’系字 고대 한국어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 ChatGPT 활용 ‘真是’의 감정 색채 정량적 분석
- 李白의 시에 나타난 不遇 주제 - 초월적 자아 추구와 자연 은거
- 근대 중국의 문예담론을 총괄할 대표 ‘소설총론’ 으로서의 정립 가능성 검토 - 管達如의 「說小說」·呂思勉의 「小說叢話」를 대상으로
- 古谱改编诗词在台传唱情形初探 - 以“为毛泽东录诗词”为讨论对象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中國農村隔代教育類型及其對留守兒童學業的影響硏究
- 중국인문과학 제88집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