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entiment Analysis Study of ‘真是’ Using ChatGPT
- 발행기관
- 중국인문학회
- 저자명
- 신근영(Geun Young Shin)
- 간행물 정보
- 『중국인문과학 』제88집, 19~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에서는 ChatGPT를 활용하여 ‘真是’의 긍정, 부정, 중립적 감정 색채 비율 등 ‘真 是’의 감정 색채 양상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다량의 문장을 개별적으로 분석하기에는 한계가 있기에 ChatGPT를 활용한 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분석 결과 총 1000 개의 문장 중에 긍정적 감정 색채가 531개로 53.1% 차지했고, 부정적 감정 색채는 451개로 45.1%로, 중립적 감정 색채는 18개로 1.8%로 나타났다. 이는 사전에 정의된부정적 감정 색채보다 긍정적 감정 색채로 사용된 것이 더 많이 나타났다. 『現代漢 語詞典(第7版)』와 『現代漢語八百詞(增訂本)』에 제시된 ‘真是’의 정의와는 매우 상반되는 결과임을 알 수 있다. 두 사전에는 ‘真是’를 동사와 관용어로 부정적 감정 색채를나타낸다고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CCL 코퍼스를 통해 확인하면 ‘真是’는 이 두 가지 용법뿐만 아니라 부사로의 쓰임도 다수 발견된다. ‘真是’의 이러한 세 가지 쓰임을 통해 ‘真是’가 과거부터 연속적으로 변화되는 언어의 변화 과정임을 볼 수 있었다. 언어는 사람들의 의사소통 도구이다. 따라서 사람들의 생활 환경이 변화하게 되면언어도 그에 맞추어 자연스럽게 변화하고 전달되고 수용된다. 본래 실질적 의미를 가진 형태소 ‘真’과 ‘是’가 결합되면서, 문법적 기능을 하는 허사로 변화하고 이는 더나아가 관용어라는 화용적 담화 표지로 발전하는 과정 또한 언어의 자연스러운 진화단계라 볼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utilized ChatGPT to quantitatively analyze the emotional coloring of ‘真是’, including the ratio of its positive and negative, neutral usage. Due to the limitations in analyzing a large number of sentences individually, we employed a research method leveraging ChatGP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out of 1000 sentences, 531 (53.1%) exhibited positive emotional coloring, while 451 (45.1%) displayed negative emotional coloring, 18 (1.8%) exhibited positive emotional coloring. This indicates a higher frequency of positive emotional usage compared to the negative connotations suggested by dictionary definitions. This finding significantly contrasts with the definitions of ‘真是’presented in “The Contemporary Chinese Dictionary (7th Edition)” and “Eight Hundred Words in Modern Chinese (Revised and Enlarged Edition)”. These dictionaries define ‘真是’ as a verb and idiom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However, examination of the CCL corpus reveals that ‘真是’ is not only used in these two ways but also frequently appears as an adverb. This raises the question of why these three usages are not fully defined in the aforementioned dictionaries. The three different uses of ‘真是’ can be viewed as part of a continuous and unified process of language evolution. Language is a tool for human communication, naturally evolving, transmitting, and adapting as people's living environments change. The combination of ‘真’ and ‘是’, originally words with substantial meanings, has evolved into a grammatical function word and further developed into a pragmatic discourse marker as an idiom. This process can be seen as a natural stage in the evolution of language.
목차
Ⅰ. 서론
Ⅱ. 현대중국어 ‘真是’의 사전적 의미와 그 쓰임
Ⅲ. ChatGPT 활용 ‘真是’의 감정 분석
Ⅳ. ‘真是’의 쓰임별 감정 색채
Ⅴ.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中国古代绘画中的文人袒裸形象研究 - 基于皮尔斯符号三分法视角
- UNESCO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서의 중국 徑山茶宴 - ‘청규(淸規)’에서 디지털 문화관광으로의 전개
- 土 오행 墓庫論의 연원과 변천 고찰
- 王振鵬이 그린 「孔子聖蹟圖」의 眞僞에 관한 고찰 - 그림의 序와 題跋을 중심으로
- 한국어 祖語가 한자 창제에 미친 영향 - ‘不聲’系字, ‘丕聲’系字, ‘否聲’系字, ‘咅聲’系字 고대 한국어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 ChatGPT 활용 ‘真是’의 감정 색채 정량적 분석
- 李白의 시에 나타난 不遇 주제 - 초월적 자아 추구와 자연 은거
- 근대 중국의 문예담론을 총괄할 대표 ‘소설총론’ 으로서의 정립 가능성 검토 - 管達如의 「說小說」·呂思勉의 「小說叢話」를 대상으로
- 古谱改编诗词在台传唱情形初探 - 以“为毛泽东录诗词”为讨论对象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 中國農村隔代教育類型及其對留守兒童學業的影響硏究
- 중국인문과학 제88집 목차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 근대 문학과 목격의 서사 : 이상 「날개」 연구
- 在日中国女性形象的话语建构研究 - 以≪朝日新闻≫和≪读卖新闻≫为例
- 한자의 문화적 정체성과 현대 사회에서의 재해석 - 한·중·일 삼국을 중심으로
인문학 > 문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