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 祖語가 한자 창제에 미친 영향 - ‘不聲’系字, ‘丕聲’系字, ‘否聲’系字, ‘咅聲’系字 고대 한국어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이용수  36

영문명
The Influence of Korean early language on the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 Bas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不sound” clusters, “丕sound” clusters, “否sound” clusters, “咅sound” clusters and the Ancient Korean language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김은주(Eun Ju Kim) 김하종(Ha-jong Kim)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88집, 1~17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8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上古音을 연구하다 보면 고대 한국어와 같거나 유사한 어휘들을 발견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양국 간 어휘의 차용 문제가 대두되었다. 차용 문제를 살펴보기 위해서는체계적인 접근이 필요한데, 본고에서는 諧聲을 이용하는 방법을 취해 연구를 진행했다. 우선 [*kl(r)-]형 複聲母인 ‘圭聲’系字([*kwrigs])와 ‘丯聲’系字([*kre:ds])를 통해고대한국어와 체계적인 대응 관계를 살펴본 후, [*pl(r)-]형 複聲母인 ‘辟聲’系字 ([*pleeg]) 연구를 통해 [*pl(r)-]형 複聲母 역시 고대 한국어와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발견했다. 그리고 다른 [*pl(r)-]형 複聲母인 ‘不聲’系字([*pɯd]), ‘丕聲’系字 ([*phrɯ]), ‘否聲’系字([*brɯʔ]), ‘咅聲’系字([*pʰlɯ̠s])의 複聲母도 ‘월경혈’, ‘임신’ 등의 의미로 고대 한국어와 매우 체계적으로 대응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내용들을 토대로, 複聲母인 上古音과 고대 한국어 간 대응이 광범위하고 대량의 유관 파생어를 구비하고 있으며 체계적 대응 현상을 보인다는 점으로 미루어, 이는 결코 평범한 차용관계로 볼 수 없다는 결론을 도출했고, 더 나아가 많은 複聲 母가 존재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遠古漢語 시기에 한국어 祖語가 한자 창제에 일정 부분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지는 못할 것이라는 결론에 도달했다.

영문 초록

When studying The Old Chinese sound, you will find vocabulary that is the same as or similar to ancient Korean, which has raised the problem of borrowing vocabulary between the two countries. A systematic approach is needed to examine the borrowing problem, and in this paper, the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Phonetic Radical System. First of all, after examining the systematic correspondence with ancient Korean through [*kl(r)-]-type Compound initial consonant 圭 Phonetic Radicals([*kwrigs]) and 丯 Phonetic Radicals([*kre:ds]), we found that the [*pl(r)-]-type Compound initial consonant also systematically corresponded to ancient Korean through research on 辟 Phonetic Radicals([*pleg]), 不 Phonetic Radicals([*pɯd]), 丕 Phonetic Radicals([*phrɯ]), 否 Phonetic Radicals([*brɯʔ]), and 咅 Phonetic Radicals([*pʰlɯ̠s ̠]) are also very systematically corresponding to ancient Korean in terms of 'monthly circulation' and 'pregnancy'. Based on these, it concluded that this could never be seen as an ordinary borrowing relationship, given that the response between the Compound initial consonant of Old Chinese sound and ancient Korean was broad, had a large number of related derivatives, and that it would not completely rule out the possibility that Korean ancestral language had a certain influence on the creation of Chinese characters during the Ancient Chinese language period, where many Compound initial consonant were believed to have existed.

목차

Ⅰ. 서론
Ⅱ. 諧聲에 대한 두 가지 상반된 내용
Ⅲ. 上古音이 複聲母인 한자의 수
Ⅳ. ‘諧聲’系字의 체계적 대응과 含意
Ⅴ. ‘不聲’系字, ‘丕聲’系字, ‘否聲’系字, ‘咅聲’系字의 체계적 대응
Ⅵ.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주(Eun Ju Kim),김하종(Ha-jong Kim). (2024).한국어 祖語가 한자 창제에 미친 영향 - ‘不聲’系字, ‘丕聲’系字, ‘否聲’系字, ‘咅聲’系字 고대 한국어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인문과학 , (), 1-17

MLA

김은주(Eun Ju Kim),김하종(Ha-jong Kim). "한국어 祖語가 한자 창제에 미친 영향 - ‘不聲’系字, ‘丕聲’系字, ‘否聲’系字, ‘咅聲’系字 고대 한국어 대응 관계를 중심으로." 중국인문과학 , (2024): 1-1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