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李白의 시에 나타난 不遇 주제 - 초월적 자아 추구와 자연 은거

이용수  163

영문명
A Study on the Theme of Frustration (不遇) in Li Bai's Poetry - Transcendental Self and hiding in nature
발행기관
중국인문학회
저자명
장수연(Su-yeon Jang)
간행물 정보
『중국인문과학 』제88집, 37~50쪽, 전체 14쪽
주제분류
인문학 > 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4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이백의 시에 나타난 불우(不遇) 의식과 그 문학적 승화 과정을 고찰했다. 이백의 불우시는 크게 두 가지 특징을 보인다. 첫째, 사회 비판과 초월적 자아 추구를 통한 대응이다. 이백은 당대의 부조리한 정치 현실을 비판하면서도, 도가적 사유를 통해 세속적 가치를 초월하고자 했다. 둘째, 자연 속 은거와 신선 동경을 통한 극복이다. 그에게 자연은 단순한 도피처가 아닌 정신적 정화와 초월의 공간이었으며, 신선에 대한 동경은 속세의 번뇌에서 벗어나 자유로운 정신적 경지를 추구하는 이상을 상징했다. 이러한 이백의 불우시는 당대 문인들의 보편적 경험을 가장 깊이 있게형상화하면서도, 이를 도가적 사유와 결합하여 새로운 차원의 시적 승화를 이루어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본 연구는 「將進酒」, 「行路難」, 「郢門秋懷」 등대표작에 대한 분석을 통해 이백 시의 불우의식이 지닌 특징과 의미를 구체적으로밝혔으며, 이를 통해 성당시기(盛唐時期) 시가(詩歌)의 한 전형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를 통해 이백의 불우시가 보여주는 현실 비판과 초월의식, 자연 은거와 신선 동경의 특성들이 상호 유기적으로 결합되어 이백만의 독특한 시 세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aspects of frustration (不遇) consciousness in Li Bai's poetry and its literary sublimation process. Li Bai's poetry of frustration demonstrates two distinctive characteristics. First, he responded to his circumstances through social criticism and pursuit of transcendental self. While criticizing the irrational political reality of the Tang Dynasty, Li Bai sought to transcend secular values through Taoist thought. His critique of reality went beyond mere negation or resistance, combining with Taoist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to create a unique poetic realm. Second, he attempted to overcome his frustration through seclusion in nature and admiration for immortals. For Li Bai, nature was not simply a place of escape but a space for spiritual purification and transcendence. His yearning for immortality symbolized an ideal of achieving spiritual freedom beyond worldly troubles. This natural seclusion and orientation toward immortality were formed under the influence of contemporary Taoist thought, well demonstrating the characteristics of Li Bai's poetry that pursued a higher level of spiritual freedom beyond the limitations of reality. Li Bai's poetry of frustration holds a unique position in the High Tang period. While profoundly depicting the consciousness of frustration commonly experienced by contemporary literati, he achieved a new dimension of poetic sublimation by combining it with Taoist thought. His poetic achievement is particularly significant in that he transformed the consciousness of frustration into an opportunity for active spiritual transcendence, going beyond mere frustration or pessimism through two response methods: social criticism with transcendental consciousness, and natural seclusion with admiration for immortals.

목차

Ⅰ. 서론
Ⅱ. 이백의 시에 나타난 不遇
Ⅲ.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수연(Su-yeon Jang). (2024).李白의 시에 나타난 不遇 주제 - 초월적 자아 추구와 자연 은거. 중국인문과학 , (), 37-50

MLA

장수연(Su-yeon Jang). "李白의 시에 나타난 不遇 주제 - 초월적 자아 추구와 자연 은거." 중국인문과학 , (2024): 37-50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