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영재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에 대한 종단연구

이용수  22

영문명
A Longitudinal Study on Dispariti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Among Gifted Students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김은영(Eun-Young Kim) 양정호(Jung-Ho Yang)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3호, 53~73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재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를 분석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한국교육개발원에서 2013년부터 2017년까지 5년간 전국 단위로 조사한 「한국교육종단연구2013」을 활용하여 잠재성장모형 분석을 시행하였다. 초등학교 5, 6학년 때 영재교육을 받은 영재학생들을 대상으로 초등학교 5학년부터 중학교 3학년까지의 수학 성취도에 대한 종단연구를 하였다. 연구대상은 연속형 영재, 단발형 영재, 일반학생 세 그룹으로 나누었으며 결측을 제외하고 각각 214명(3.6%), 401명(6.7%), 5,407명(89.8%)이다. 주요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잠재성장모형 중 선형변화모형 분석 결과 일반학생 그룹의 5년간의 수학 학업성취는 초기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나면서도 학생에 따른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영재 그룹에서는 확인할 수 없었다. 성별과 월소득을 투입한 조건부 선형변화 모형 분석 결과 단발형 영재는 초기치의 월소득에서, 일반학생의 경우는 초기치와 변화율의 월소득과 초기치 성별에서 수학 학업 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 그룹의 수학 학업성취 추정치를 5년 동안 추적조사한 결과 연속형 영재의 수학 성적은 크게 격차를 벌리며 가파르게 상승했으며, 단발형 영재의 경우 연속형 영재와 유사한 양상을 띠었으나, 단 한 번도 연속형 영재를 추월하지는 못했다. 일반학생의 경우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성적의 격차가 상위 학교인 중학교에 가서도 누적되어 더 크게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성적에 따른 그룹이 한 번 정해지면 고착화되어 변하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다. 끝으로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영재 학생들에 대한 바른 인식과 인공지능교육 등을 활용한 맞춤형 개별화 교육에 대한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mploys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2013,” a comprehensive nationwide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to analyze the mathematics achievement of gifted students. Using latent growth curve modeling, this analysis spans a five-year period from 2013 to 2017, focusing on the longitudinal mathematics performance of gifted students who received specialized education during the 5th and 6th grades of elementary school. The study categorizes subjects into three distinct groups: sequentially gifted students, single-year gifted students, and general students. Results indicate that for general students, there are individual differences in mathematics achievement. Initial monthly income significantly influenced the mathematics performance of single-year gifted students. In contrast, for general students, both initial income and gender were significant factors affecting mathematics achievement.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tudy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proper awareness and the need for customized, individualized education for gifted students, particularly through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educational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영(Eun-Young Kim),양정호(Jung-Ho Yang). (2024).영재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에 대한 종단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3 (3), 53-73

MLA

김은영(Eun-Young Kim),양정호(Jung-Ho Yang). "영재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에 대한 종단연구." 영재와 영재교육, 23.3(2024): 53-73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