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생의 창의성, 행복감, 수업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이용수 28
- 영문명
- Longitudinal Analysis of College Students’ Creativity, Happiness, and Course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이용민(Yongmin Lee)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3호, 173~19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행복감과 수업만족도가 대학생의 창의성 향상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분석하고, 수업만족도가 행복감을 매개로 창의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심층적으로 탐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수업을 창의성을 촉진하는 학습 환경으로 인식하는 것이 그들의 창의성 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대학 교육 현장에서 창의성을 촉진할 수 있는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 보면, 첫째, 대학생들의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은 학기 초부터 학기 말까지 선형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대학생들의 행복감은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변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수업에 대한 대학생들의 인식은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창의 수업만족도와 창의적 문제해결 성향의 변화에 있어 행복감이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 교육에서 창의성을 촉진하고 학생들의 긍정 정서와 행복감을 증진시키기 위한 학습 환경을 조성할 것을 제언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pecific effects of happiness and course satisfaction on the enhancement of college students' creativity and to explore in depth how course satisfaction, mediated by happiness, influences creativity development. Additionally, by examining how students perceive their courses as a learning environment that fosters creativity, the study sought to deriv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promoting creativity in higher educa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creativity of college students tended to change linearly from the beginning to the end of the semester. (2) Students' happiness was found to be a positive factor influencing chang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3) Students' perception of their courses was confirmed as a factor that affects changes in their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4) Happiness was identified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reative course satisfaction and changes in creative problem-solving tendencie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reate learning environments that promote creativity and enhance students' positive emotions and happines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재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에 대한 종단연구
- 한국과학영재학교(KSA) 교원 보수실태 및 개선방안
- 청소년 사회정서역량 검사 개발
- 중국 대학 교수가 지각한 소속 대학 학장의 임파워먼트리더십,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학습과학 연구를 통해 본 학습의 원리와 교실 내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시사점
- 대학생의 창의성, 행복감, 수업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 영재 청소년의 개인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청소년기 시민의식의 변화 궤적: 예측 요인 및 민주적 학교 문화의 시간 효과
- 과학영재가 친구와 함께 하는 학습몰입의 경험에 나타난 심리사회적 기술의 특징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인생3막 평생교육을 위한 노년기 배움형 일자리창출 플랫폼 개발 연구
- 지각된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군 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 완벽주의와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 유아교사의 민감성 및 창의적 교수능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