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기 시민의식의 변화 궤적: 예측 요인 및 민주적 학교 문화의 시간 효과

이용수  57

영문명
Trajectories of Change in Civic Consciousness During Adolescence: Predictors and Time Effect of Democratic School Culture
발행기관
한국영재교육학회
저자명
차용훈(Yong-Hoon Cha) 박분희(Bun-Hee Park)
간행물 정보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3호, 103~137쪽, 전체 35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7,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 시민의식의 변화 궤적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 요인을 분석하고, 특히 민주적 학교 문화의 시간적 효과를 검증하였다. 전남교육종단연구(JELS) 패널 데이터를 활용하여 중학교 1학년부터 고등학교 1학년까지 4년간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잠재성장모형(LGM) 분석 결과, 청소년 시민의식은 중학교 시기에 감소하다가 고등학교 시기에 회복되는 비선형적 변화를 보였다. 개인적 요인(성별, 다문화 수용성), 가정 요인(부모 관계), 학교 요인(교사 지지, 학교 만족도, 봉사활동 동아리 참여)이 시민의식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다문화 수용성은 모든 시점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부모 관계와 교사 지지는 초기 및 중학교 시기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학교 만족도와 봉사활동 참여는 중학교 시기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고등학교 시기로 갈수록 그 효과가 감소하였다. 한편, 민주적 학교 문화는 시민의식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동시효과와 지연효과가 확인되었다. 특히 중학교 1학년 시점에서 민주적 학교 문화 경험이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였으며, 중학교에서의 경험이 이후 고등학교 시기의 시민의식 수준에도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지연효과가 검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의사 결정 과정에 학생 참여 보장, 학교급에 적합한 민주시민교육 프로그램 마련, 중학교 시기 민주시민교육 강화, 학생 자치활동 활성화, 지역사회 연계 확대 등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청소년기 시민의식 발달에 관한 이론적 논의를 심화하고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rajectories of adolescent civic consciousness and factors influencing these changes, focusing on the effects of democratic school culture. Using panel data from the Jeonnam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JELS) spanning four years from middle to high school, the study employs Latent Growth Modeling (LGM). Results show a nonlinear change in civic consciousness, decreasing during middle school and recovering in high school. Personal factors (gender, multicultural acceptance), family factors (parental relationships), and school factors (teacher support, school satisfaction, participation in volunteer clubs) significantly influenced these changes. Multicultural acceptance had a consistent impact, while parental relationships and teacher support were crucial in early and middle school periods. School satisfaction and volunteer activities were significant during middle school, but their influence decreased in high school. Democratic school culture emerged as a key factor in civic consciousness development, showing both concurrent and delayed effects. Its influence was strongest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with experiences in the third year continuing to affect civic consciousness in high school. The study suggests ensuring student participation in school decision-making, developing tailored civic education programs, strengthening civic education in middle school, promoting student autonomy, and expanding community involvement. This research provides practical directions for school-based civic education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on adolescent civic consciousness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차용훈(Yong-Hoon Cha),박분희(Bun-Hee Park). (2024).청소년기 시민의식의 변화 궤적: 예측 요인 및 민주적 학교 문화의 시간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3 (3), 103-137

MLA

차용훈(Yong-Hoon Cha),박분희(Bun-Hee Park). "청소년기 시민의식의 변화 궤적: 예측 요인 및 민주적 학교 문화의 시간 효과." 영재와 영재교육, 23.3(2024): 103-13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