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영재 청소년의 개인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이용수 90
- 영문명
- The Individual Counseling Experiences of Gifted Adolescents: A Qualitativ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박은선(Eunsun Park) 김진숙(JinSook Kim)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3호, 75~101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영재 청소년 내담자가 개인상담에서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세평적 사례선택과 눈덩이 표집으로 영재교육대상자인 연구참여자 5명을 선정했고, 반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한 심층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했다. 참여자는 면담시기로부터 1년 이내에 최소 10회 이상의 개인상담을 받은 경험이 있는 만 13세∼18세에 해당하는 영재교육대상자로서 기준을 충족했다. Colaizzi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의 득과 실에 대한 인식 명료화’, ‘개인상담을 활용한 영재청소년의 주체성 회복’, ‘개인상담을 자원화하여 문제 해결과 변화 시도’라는 3개 범주, 6개 주제군집, 18개 주제, 68개 구성의미가 도출되었다. 영재교육의 득과 실에 대한 인식을 명료화한 영재 청소년들은 개인상담을 자원으로 활용해 주체성을 회복하고 호소문제를 해결하며 변화를 도모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영재 청소년에게 효과적인 상담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논의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iscover and identify experiences of individual counseling among gifted adolescents in Korea. For this purpose, 5 participants who were gifted and talented were selected through reputational case selection and snowball sampling,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in-depth interviews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The participants met the criteria of be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aged 13 to 18 years old who had received at least 10 sessions on individual counseling within one year of the interview. Th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and resulted in 3 categories, 6 theme clusters, 18 themes, and 68 formulated meanings, including ‘clarification of the perceived benefits and drawbacks of gifted education,’ ‘using individual counseling to restore the agency of gifted youth,’ and ‘using individual counseling as a resource to solve problems and attempt change’. Gifted adolescents who experienced the benefits and drawbacks of gifted education used individual counseling as a resource to restore their agency, solve their problems, and make changes. Based on the findings, implications for providing effective individual counseling to gifted adolescents are discuss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영재의 수학 학업성취 격차에 대한 종단연구
- 한국과학영재학교(KSA) 교원 보수실태 및 개선방안
- 청소년 사회정서역량 검사 개발
- 중국 대학 교수가 지각한 소속 대학 학장의 임파워먼트리더십, 조직공정성, 조직시민행동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학습과학 연구를 통해 본 학습의 원리와 교실 내 창의성 증진을 위한 시사점
- 대학생의 창의성, 행복감, 수업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 영재 청소년의 개인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연구
- 청소년기 시민의식의 변화 궤적: 예측 요인 및 민주적 학교 문화의 시간 효과
- 과학영재가 친구와 함께 하는 학습몰입의 경험에 나타난 심리사회적 기술의 특징에 대한 질적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제28권 제2호 목차
- 컴퓨터 기반 평가의 문항 유형별 응답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중학교 수학을 중심으로
- 역사적·심리적 발달에 따른 선형대수 학습 수준에 대한 고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