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Technology Acceptance Factor and Social Influence on Social Commerce Usage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임철(Cheol Lee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0권 제1호, 175~19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소셜커머스(Social Commerce)란 SNS(Social Network Service)수단을 활용한 전자상거래 형태로 소셜미디어(Social Media)와 e-Commerce가 결합된 형태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술수용요인인 지각된 유용성과 용이성 그리고 사회적 영향력 요인인 사회적 관계와 주관적 규범의 요인이 소셜커머스 사용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실증분석을 위하여 부산지역 20대의 대학생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355부의 자료를 기반으로 구조방정식모형인 PLS를 이용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첫 번째의 분석 결과는 지각된 유용성, 지각된 용이성, 결속적 관계, 주관적 규범이 소셜커머스 사용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교량적 관계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중 지각된 유용성이 경로계수 0.5245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그 다음으로는 주관적 규범이 0.126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고객이 소셜커머스를 사용하고자 하는 의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소셜커머스가 고객에게 가치가 있음을 보여야 한다. 두 번째의 분석결과는 지각된 유용성과 주관적 규범이 소셜커머스의 지속적 사용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교량적 관계와 결속적 관계인 사회적 관계는 소셜커머스의 지속적 사용에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소셜커머스의 지속적 사용도 사용의도와 마찬가지로 고객들이 소셜커머스가 가치가 있다고 판단될 때 지속적으로 이용의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강한 혹은 약한 친구관계를 통해 주관적 규범이 형성될 때 소셜커머스의 지속적 사용이 활성화 됨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분석의 결과를 기반으로 볼 때, 소셜커머스의 사용의도 및 지속적 사용을 높이기 위해서는 고객에 가치와 신뢰를 제공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구축과 사회적 관계를 통한 주관적 규범 형성을 위한 광고, 홍보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본 연구가 달성한 나름의 공헌에도 불구하고, 시간과 기타 여건의 제약에 따라 부족한 부분이나 몇 가지의 한계점을 가지게 되었다. 우선은 연구대상과 표본의 대표성 문제가 제기될 수 있다. 표본 역시 상대적으로 20대 대학생에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도출된 가설을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향후 추가 연구시 연구 표본 집단의 확대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는 탐색연구에 적합한 구조방정식모형인 PLS를 사용하였다는 점이다. 보다 정교한 분석을 위해서 공분산을 기본으로 한 구조방정식모형의 사용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셋째, 본 연구는 사회적 관계가 사용의도와 지속적 사용간의 관계에 대한 분석에 초점을 맞추었으나, 소비자가 각각 다른 개성을 가지고 있음을 무시하고 소비자를 전체적인 관점에서 파악하였다. 따라서 소비자 혁신수용단계 모델을 적용한 보다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기술수용단계별 차이 분석은 각 단계별 마케팅 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영문 초록
The social commerce is a type of electronic commerce using social network service, which combines social media with e-commerce. This study investigates how technology acceptance and social influence factors have an influence on social commerce usage. The technology acceptance factors include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and social influence factors include the subjective norm and social relationship. In order to analyze the study empirically we collected 355 data from college ages living in Busan city and analyzed it using PLS (Partial Least Squares) of structured equation models. The finding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first finding shows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ease of use, bonding relationship, and subjective norm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but bridging relationship has not. The perceived usefulness of these factors has the greatest influence and then subjective norm in order. Hence, social commerce manager should provide useful value to customers, make social relationship strong in the community, and build social identity in the community to enhance the intention to use social commerce. The second finding demonstrates that the perceived usefulness and subjective norm have a direct significant effect on the social commerce continuance, but bridging and bonding relationship have not. We found that the bridging and bonding relationship have no direct effect on the social commerce continuance, but setting subjective norm with strong and weak social relationship improve the continuous use of social commerce. The useful value to customers in social commerce also is important factor in the social commerce continuance. Therefore, the study suggests that social commerce managers should implement the programs to provide useful value and trust with customers and put an advertisement and public relationship to make subjective norm through strong or weak social relationship among customers. This study provides much contribution, but has some limitations.
The sample was limited to 20th ages in Busan city and the generalization of the results was difficult. In the future, it would be interesting to focus on an overall ages and area and analyze theirs difference. Secondly, we use PLS as structural equation model for exploratory study. We need to consider a method for more elaborate empirical study. Thirdly, this study focuses overall customers. This can overlook individual attributes of customers. Therefore, we will take individual attributes of customers in acceptance level of social commerce.
목차
Ⅰ. 서론
Ⅱ. 소셜네트워크 및 소셜커머스
Ⅲ. 연구모형 및 가설
Ⅳ. 실증분석
Ⅴ. 결론 및 시사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임검사제의 위헌·위법성에 대한 법리적 검토 - 범죄혐의있는 검사를 대상으로 수사한 특별검사사건과 비교를 통하여
- 뮤추얼 펀드 시장의 이례현상; 캘린더 효과를 중심으로
- An Impact of Online Video Network on Views on Youtube: Focused on Parody of PSY Kangnam Style Music Video
- 국가 간 축구경기에 따른 투자자 심리와 주식시장 반응
- 천연가스산업에서 기후파생상품의 헤지수요 및 성과분석
- 한국 상장 소형주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개편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The Empirical Study on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Brent Oil Price, CSI 300 Stock-index Futures and Shenzhen Stock Market
- 거버넌스에 대한 중앙과 지방공무원의 인식차이 구조분석
- 유라시아 신용파생상품시장에서의 가격발견
- 개별주식선물시장의 거래대금에 따른 정보이전효과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요인과 사회적 영향력이 소셜 커머스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기업 종업원들의 LMX와 경력관련 태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 내 국제어학원 과정 - 외국인 학생의 한국생활문화교육 실태 연구
- 中国商业银行流动性风险的决定要因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IT Professionals
- SK재벌의 지주회사체제 전환과 그 문제점
- 한국 주식시장에서 주식분할효과와 최대주주 지분율간 관계
-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인터넷 신생기업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Amazon.com 사례 중심으로
- 중소창호업체의 제공특성, 대인특성, 관계특성이 고객의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보유 및 공적연금
-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시장간의 선도-지연(lead-lag)에 관한 실증적 연구: NHN 및 GS건설 선물시장 중심으로
- 개별기업 주식의 거래량과 주가 간의 인과관계 검증 : 한국 주식시장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