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omalies in Korean Mutual Funds Market: Empirical Evidence on Calendar Effects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김누리(Noolee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0권 제1호, 107~12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3.03.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자산 가격에 대한 실증분석에서는 상당한 일관성을 가지고 관측되지만 기존 이론의 결과와는 부합되지 않는 실증결과, 즉 이례현상(anomaly)은 서로 다른 분석기간 및 다양한 국가의 서로 다른시장에서 유사한 형태로 관측되면서도 기존 이론으로는 설명할 수 없다는 점에서 이례적이면서 동시에 흥미로운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례현상은 학문적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Fama(1970)가 지적한 바와 같이 이례현상은 그 특성상 ‘정상현상’을 제시하는 기존 이론의 결과와 대비되어 설명되는 것이기 때문에, 이례현상은 시장의 비효율성을 나타내는 것일 수도 있으나 동시에 기존이론의 불완전함을 보여주는 것일 수도 있다. 즉 이례현상의 존재는 자산 가격의 형성 및 움직임에 대한 기존 이론에서 고려하고 있지 못하는 요소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한편 실무적인 측면에서도 이례현상은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는데, 실무 관계자들의 관심은 주로 이례현상을 이용한 수익창출이 가능한 가의 여부, 즉 이례현상의 크기가 실제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는 투자전략의 구성이 가능할 정도로 큰 지의 여부이다(Jensen, 1978).
이례현상에는 계절적으로 요일별, 월별 등의 시간대에 따라 주기적으로 나타나는 계절적 이례현상(seasonal anomaly)과 기업 특성변수와 관련하여 나타나는 기업특성적 이례현상이 있다. 이 중 계절적 이례현상, 즉 캘린더 효과(calendar effects)에 대하여는 기존의 연구를 통하여 1) 주말기간에 걸쳐 산출되는 월요일 수익률이 여타 요일의 수익률보다 낮은 주말효과(weekend effect), 2) 전반월(first half of the month)의 수익률이 후반월(second half of the month)보다 높은 월중효과(intramonth effects), 3)월말일에서 월초 3일간의 수익률이 여타 기간의 수익률보다 높은 월말월초효과(turn-of-the-month effects),4) 1월의 수익률이 여타 기간의 수익률보다 높으며, 이 효과는 상반월에 집중되어 있다는 1월효과(January effects), 5) 휴일 직전 기간의 수익률이 여타 기간의 수익률보다 높은 휴일효과(holiday effects), 6) 음력설날 직전 기간의 수익률이 여타 기간의 수익률보다 높다는 음력신년효과(lunar new year effects) 등의 다양한 이례현상의 존재가 알려져 있다. 한편, 이러한 캘린더 효과에 대한 국내연구들이 이루어져 왔으나, 주식시장만을 분석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또한 분석기간이 자본시장이 본격적으로 활성화되지 않은 90년대 초 이전이라는 점에서 보완할 필요성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에 본 연구는 2000년대 중반부터 큰 폭의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간접투자 수단으로서의 유용성이라는 측면에서 그 중요성이 크게 증대되고 있는 뮤추얼 펀드를 대상으로, 이례현상의 중요한 범주인 캘린더 효과를 중심으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구체적으로는 우리나라 뮤추얼 펀드 수익률의 움직임이 기존 연구를 통해 알려져 있는 6개의 캘린더 효과와 어떤 공통점 및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을 위해 2002년 7월에서 2010년 4월까지의 펀드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일정한 표본선정기준에 따라 선정된 개별 펀드들을 사용하여 6개의 유형별 펀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개별 펀드 수익률의 가치가중평균으로 각 펀드 포트폴리오의 일별 수익률을 산출하였다. 펀드 수익률에서의 캘린더 효과의 존재 여부를 살펴보기 위하여 각 캘린더 효과의 형태에 따른 일별 수익률의 분포를 분석하였으며, 동 분포형태의 통계적 유의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더미변수를 사용한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유형별 펀드 포트폴리오의 일별 수익률을 대상으로 캘린더 효과가 어떤 양상으로 나타나는 지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월요일 수익률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나는 주말효과는 존재하지 않았으며 오히려 절대수익형 펀드, 채권형 펀드, MMF의 경우 월요일 수익률이 여타 요일의 수익률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전반월 수익률이 후반월 보다 높게 나타나는 월중효과가 평균 및 중간값에서 관측되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 월말일 및 월초 3일간의 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월말월초효과는 채권형을 제외한 모든 펀드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 1월 수익률이 여타 월의 수익률보다 유의하게 높은 1월효과는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오히려, 1월 후반월의 수익률이 여타 기간의 수익률보다 확연히 낮은 값을 보이는 현상이 관측되었으며 이는 채권형 펀드와 MMF를 제외한 모든 펀드 유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다섯 번째, 휴일 직전에 수익률이 높게 나타나는 휴일효과에 부합하는 수익률 패턴이 관측되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여섯 번째, 음력설 직전 및 직후 기간에는 수익률이 유의하게 높은 모습을 보이고 있다. 종합적으로 판단할 때, 우리나라 뮤추얼 펀드시장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알려진 캘린더 효과들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일부 캘린더 효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관측되었고, 다른 일부 효과들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 다른 일부 효과들은 기존에 알려진 바와는 반대의 수익률 방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었다. 한편, 기존에 알려진 캘린더 효과에 부합하는 정도는 펀드 유형에 따라서도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서 자산 수익률의 캘린더 효과가 자산의 종류에 따라 다른 형태를 보이고 있을 가능성을 시사하는 것이다.
영문 초록
Anomalies are empirical results that are observed with high degree of consistency in various empirical analyses of asset returns but seem to be inconsistent with existing theories of asset price behavior. They are exceptional and interesting phenomena in that they are consistently observed in different time periods, instruments, markets, and countries but can not be explained with maintained theories. As Fama(1970) points out, anomalies indicate either market inefficiency or inappropriateness of the underlying asset pricing model because they can be defined only compared to ‘normal phenomenon’ suggested by asset pricing theories. Therefore, anomalies imply that there might be some factors which the current theories of asset price behavior fail to incorporate. On the other hand, anomalies are important phenomenon for the practitioners in the financial industries because the existence of anomalies might mean that there are profit opportunities through investment strategies exploiting the anomalous price behavior (Jensen, 1978).
opportunities through investment strategies exploiting the anomalous price behavior (Jensen, 1978). Anomalies consist of seasonal anomaly which is cyclical or seasonal anomaly in return behaviors, where the cycle is based on the calendar and firm characteristic anomaly which is anomalous behavior of returns based on the specific characteristics of firms. For seasonal anomaly, aka calendar effects, various anomalous return behaviors has been emerged through extensive researches. Weekend effects mean the tendency of returns to exhibit relatively lower returns on Mondays. Intramonth effects refer to the positive returns mainly in the first half of the month. Turn-of-the-month effects state that the last day of a month and the first three days of the next month exhibit relatively higher returns. January effects indicate that the returns in January are much higher than returns in other months, and this effects are concentrated in the first half of January. Holiday effects mean the relatively higher returns on days right before a holiday. Lunar new year Effects refer to the tendency of relatively higher returns on days right before lunar new year holiday periods. Meanwhile, there are several studies of the calendar effects in Korean capital market. They, however, deal with only stock index returns and the sample periods are before 1990s when the Korean capital market are not fully functional yet.
This study examine the mutual funds in Korean market which are important instruments for investments and have shown significant growth since middle of 2000s. Specifically, we look into whether widely known six calendar effects are observed in the mutual fund returns in Korean market. For the analysis, using mutual fund data for the period from July 2002 to April 2010, we construct six different type of mutual fund portfolios and calculate the daily fund portfolio returns using the daily returns of each individual fund in the portfolio. In order to check the existence of calendar effects in mutual fund returns, we examine whether the specific distribution of daily fund returns are consistent with various calendar effects and tes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regression analyses with dummy variables.
Empirical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evidence of weekend effects. On the contrary, absolute return fund, bond fund and MMF exhibit significantly higher returns in Monday. Second, a return behavior consistent with intramonth effects are observed but they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statistically significant turn-of-the-month effects exist for all types of funds except bond fund. Fourth, January effects do not exist. Instead, for all fund types except bond fund and MMF, returns in second half of January are significantly lower. Fifth, a return pattern consistent with holiday effect are detected but it is wit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목차
Ⅰ. 서론
Ⅱ. 관련 문헌 및 이론적 배경
Ⅲ. 자료 및 기초통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특임검사제의 위헌·위법성에 대한 법리적 검토 - 범죄혐의있는 검사를 대상으로 수사한 특별검사사건과 비교를 통하여
- 뮤추얼 펀드 시장의 이례현상; 캘린더 효과를 중심으로
- An Impact of Online Video Network on Views on Youtube: Focused on Parody of PSY Kangnam Style Music Video
- 국가 간 축구경기에 따른 투자자 심리와 주식시장 반응
- 천연가스산업에서 기후파생상품의 헤지수요 및 성과분석
- 한국 상장 소형주의 내부회계관리제도 개편이 주식시장과 채권시장에 미친 영향에 관한 실증적 연구
- The Empirical Study on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Brent Oil Price, CSI 300 Stock-index Futures and Shenzhen Stock Market
- 거버넌스에 대한 중앙과 지방공무원의 인식차이 구조분석
- 유라시아 신용파생상품시장에서의 가격발견
- 개별주식선물시장의 거래대금에 따른 정보이전효과에 관한 연구
- 기술수용요인과 사회적 영향력이 소셜 커머스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중국기업 종업원들의 LMX와 경력관련 태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 대학 내 국제어학원 과정 - 외국인 학생의 한국생활문화교육 실태 연구
- 中国商业银行流动性风险的决定要因
- A Study on Factors Affecting Turnover Intention of IT Professionals
- SK재벌의 지주회사체제 전환과 그 문제점
- 한국 주식시장에서 주식분할효과와 최대주주 지분율간 관계
- 비즈니스 모델 관점에서 인터넷 신생기업의 지속성에 관한 연구: Amazon.com 사례 중심으로
- 중소창호업체의 제공특성, 대인특성, 관계특성이 고객의 만족 및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 베이비붐 세대의 자산보유 및 공적연금
- 개별주식 현물과 선물시장간의 선도-지연(lead-lag)에 관한 실증적 연구: NHN 및 GS건설 선물시장 중심으로
- 개별기업 주식의 거래량과 주가 간의 인과관계 검증 : 한국 주식시장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