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Life Comprehension Education Based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신영(Shin Young Kim) 이상원(Sang Won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3호, 155~18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생명존중의식에 기반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생명이해교육 및 정서지능에 관한 선행연구고찰을 통하여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학습 현장에 적용하였다. 그 효과를 검증하기위한 검사지는 황은영(2005)이 제작한 정서지능 검사지를 학년 수준에 맞게 재구성하여 사용하였으며,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i-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처리하였고,정성적 분석은 연구자의 관찰 및 면담과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07 개정교육과정에서 생명과 관련된 단원을 분석하여 나를 비롯한 모든 인간과 동․식물의 생명의 소중함을 이해하며 직접 알아보고 표현하는 여러 활동을 내용으로 하여 정서지능 함양에 적합한 교수·학습모형 및 교수·학습안을 구안하였다.
둘째, 생명존중의식에 바탕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의 적용은 초등학생의 정서지능 함양에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정서지능의 하위영역간 정적인 상관관계(Pearson Correlation,0.4-0.7)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정성적 분석 결과, 개발된 프로그램을 진행하는 동안 학생들은 생명에 대한 관심과 생명에 대한 올바른 이해를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생명존중의식에 바탕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은 초등학교 현장에 적용가능하며, 4학년 학생들의 정서지능 함양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한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체계적인 교수․학습 활동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ife comprehension education based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on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4th graders in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A reconstructed questionnaire through Hwang(2005)`s test tool was used to the effects of applying a life comprehension program. The i-STATistics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results.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First, the researcher was able to develop and apply a professor-learning model for the life comprehension education based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by extracting and recreating life-related contents from 4th grader curriculum. Second, this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elementary studen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positive correlation(from 0.4 to 0.7) among the low domains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according to qualitative results, students appear to be more concerned on the life, and have a right understanding on life.
In conclusions, the life comprehension program based on life respect consciousness has a positive effect on emotional intelligence cultivation of 4th graders. It is demanded that the further in-depth research on this study should be conducted, link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s follow-up activity.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및 논의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아동의 착의습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교육대학교 학생의 실과 아이디어 구상 활동에서 TRIZ기법의 활용 효과
-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초등 실과 의생활교육 방안
- 일본의 초ㆍ중학교 주생활 학습내용 분석을 통한 새로운 관점 도출
- 녹색식생활교육을 통한 아동의 인성교육
- 생명존중의식에 기반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의 창의성 요인구조 분석
-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초등기술교육』코스웨어 개발
- 대학의 다문화 관련 과목에서 가족을 중심으로 한 교양과목을 통한 다문화 인식 변화
-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명영재의 개념 요소 고찰:
- 메타 데이터와 한글 스크립트 포스트프로세서를 이용한 로봇 활용 STEM 교육의 접근에 대한 연구
-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삶의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효과
- 원장의 리더십코칭과 보육교사의 긍정심리자본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 영유아교사의 그릿 증진을 위한 교사교육 경험의 의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