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이용수  3

영문명
Effects of TeachingㆍLearning Plan for 'Practice of Green Indoor Environment' on Improvement of Middle Schoolers' Green Life Consciousness & Behavior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학회
저자명
김경연(Kyung Yeon Kim) 장상옥(Sang-Ock Jang)
간행물 정보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3호, 69~96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2.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중학생의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 주생활 영역에서 ‘녹색 실내환경실천하기’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고 수업에 적용하여 그 효과를 알아보았다. 교수ㆍ학습과정안은 ADDIE의 교수설계모형에 의해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 단계를 거쳐 개발하여, 실천적 문제는 ‘지속가능한 녹색 실내환경 실천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로 설정하고, 5차시 교수ㆍ학습과정안을 구성하였다. 교수ㆍ학습과정안은 5차시를 하나의 흐름으로 구성하여 1차시는 생각열기와 문제 인식단계로 실내환경의 문제를 인식하고, 2, 3, 4 차시는 실내의공기환경, 빛환경, 열환경 문제의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며 비판의식을 토대로 기대하는 목표를 세우고, 5차시는 모둠별로 녹색 실내환경 실천에서의 문제와 개선 방법을 발표하도록 하였다. 교수ㆍ학습자료는 수업지도안(5종), 학습자료 37종(학생활동지 21종, 학생용 읽기자료 4종, 교사용 읽기자료 3종, 동영상자료 9종), PPT자료 5종, 수행평가자료 1종, 실험 프로그램 3종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교수ㆍ학습과정안은 경남 진주시 중학교 2학년 10개 학급을 대상으로 3주간 학급당 5차시씩 적용하였다.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실천적 문제 중심 교수ㆍ학습과정안은 강의식 수업보다 중학생의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을 향상시키데 매우 효과적이었다. 이 교수ㆍ학습과정안에 포함된 실험기기를 활용하여 공기환경, 빛환경, 열환경을 체험할 수 있는 프로그램은 현대주거의 실내환경 문제를 실제적으로 인식하고 친환경적으로 개선하고자 하는 의식과 행동의 향상에 기여하였다. 이 수업은 ‘녹색생활 실천하기’를 강조한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목표 달성에 유용하고, 녹색생활 교육을 장려하는 국가적 요구에 부응하며, 미래 지구시민에게 요구되는 특성 중하나인 환경을 보호하는 생활양식의 실천이라는 측면에서 교육적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연구는 중학교뿐만 아니라 초등학교 실과의 ‘쾌적한 주거와 생활자원 관리’ 및 ‘생활 속의 동ㆍ식물 이용’ 등의 단원에도 부분적으로 적용할 수 있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teachingㆍlearning plan for 'practice of green indoor environment' on improvement of middle Schoolers' green life consciousness & behavior. The teachingㆍlearning plan was developed through the stage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based on ADDIE's teaching design model. Teachingㆍlearning process is comprised and developed with class guideline(5 sorts), 37 learning contents(21student activity forms, 4 student reading contents, 3 reading contents for teacher, 9 video contents), 5 PPT contents, 1 performance assessment content, 3 experiment programs (illuminance meter, infrared radiation thermometer and CO2 evaluation instrument are used). In changing of green life consciousness, students who attend in 'practicing green indoor environment' class show far better improvement in consciousness than those who attend in instructor-led class. In changing of green life behavior, students who attend in 'practicing green interior environment' class show far better improvement in consciousness than those who attend in instructor-led class. So, practical problem-teaching class with experimental program is found to have great effect for improving green life consciousness and behavior than instructor-led class. The class contributes goal achievement of 2009 revised curriculum emphasizing 'green life practicing', meets the national request encouraging green life education, and introduces practice of environment preservation lifestyle, which is one of the features required to the future generation, having huge educational significance.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연구 결과 및 해석
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경연(Kyung Yeon Kim),장상옥(Sang-Ock Jang). (2012).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 (3), 69-96

MLA

김경연(Kyung Yeon Kim),장상옥(Sang-Ock Jang).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3(2012): 69-9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