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New Perspective Derived from the Content Analysis on the Housing Unit of Home Economics Text 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Japanese 2008 Revised Curriculum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상옥(Jang Sang ock)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25권 제3호, 45~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일본의 2008년 고시 학습지도요령에 의한 초 ․ 중학교 가정교과서 주생활 영역의 학습내용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와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과서의 주생활 영역은 ‘정리 ․ 정돈’, ‘청소와 쓰레기 처리, 재활용’, ‘쾌적한 여름’, ‘따뜻한 겨울’의 4개 학습내용을 다루어 다양하고 많았으며 온도계나 조도계 등을 활용한 체험적인 활동이 포함되는 특징이 있다. 우리의 초등 실과는 제한된 시수 안에서 가정영역과 기술영역을 둘 다를 교육하는 상황이므로 학습내용에 제한이 있다.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는 이러한 측면과 녹색생활 교육이 더욱 강화되는 국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주거공간의 냉 ․ 난방과 관련하여 자연환경을 활용하고 에너지를 절약하는 내용이 포함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또한 내용 이해를 촉진시키고 실생활에서의 실천 능력을 높이기 위해서 온도계 등의 측정기기를 활용하여 흥미롭게 체험할 수 있는 활동자료 필요성의 시사점을 얻었다. 둘째, 중학교 교과서 주생활 영역의 특징은 ‘주거의 기능’, ‘가족과 주거’, ‘안전한 주거’, ‘쾌적한 주거’의 4개 내용을 선택적으로 집중하여 다루는 한편 실내공기 측정이나 소음 측정과 같은 실습과 조사 등의 실천적 ․ 체험적 활동을 포함시키고 있다. 우리의 교육 현실을 감안하고 국가 사회적 요구를 반영하여 중학교 교육과정이나 교과서 개발 시 주생활 영역에 고려되거나 강화되어야 하는 내용은 저출산 ․ 고령화 사회를 대비한 주거교육 내용과 실천력을 높일 수 있는 녹색 주생활 교육 내용이라고 본다. 유아와 노인의 안전한 주생활을 위한 내용은 저출산 ․ 고령화 사회에 기여할 수 있으며, 학교의 여러 장소나 교실의 이산화탄소 등을 측정해보는 체험적학습은 친환경적 실내공간에 대한 이해를 높여 실생활에서의 실천 능력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므로 이러한 측면을 고려한 내용 구성이 요망된다.
영문 초록
This research analyzes contents of the ‘Housing Unit’ of home economics texts books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by Japanese 2008 revised curriculum. The research result and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housing unit of elementary school discussed four education contents: arranging and organizing, disposing garbage and recycling, pleasant summer, and warm winter. These units focus on developing students’ ability to be capable of
1) arrange and organize their personal space, 2) live eco-friendly by cleaning up and recycling, and 3) spend pleasant summer and winter by saving energy. Activity references such as measurement of temperature, humidity and illuminance can strengthen the understanding of indoor environment and practice.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needs for revision of the quantity and quality of the housing unit and sufficient activity materials that can intrigue elementary level students while developing Practical arts textbooks for elementary students. Second, the housing unit of Japanese middle school lacked in educational contents compared to Korean 2007 revised curriculum. The main contents focused on 1) being familiar to the function of residence, 2) thinking the residing means that best suits the family lifestyle, 3) leading safe and pleasant dwelling life, and 4) raising ability to studying the dwelling habit matching his or her lifestyle. The lifestyle independence checklist which appears in the introduction of chapter is worth referring due to the fact that it connects the educational contents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Also the contents concerning traditional culture and disaster preparation is strengthened, thus well reflecting the national and social needs of Japan. The activity materials that deals with measuring the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d noise pollution level in classrooms is evaluated in that it can help intensifying the understanding of the class contents and actual practice in real life. Contents organization that can accurately assess and reflect our national and social needs and intensify the intelligibility of the lecture contents is needed while developing the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방법
IV. 결과 및 해석
V. 요약 및 시사점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다문화아동의 착의습관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 교육대학교 학생의 실과 아이디어 구상 활동에서 TRIZ기법의 활용 효과
- 융합인재교육을 위한 초등 실과 의생활교육 방안
- 일본의 초ㆍ중학교 주생활 학습내용 분석을 통한 새로운 관점 도출
- 녹색식생활교육을 통한 아동의 인성교육
- 생명존중의식에 기반을 둔 생명이해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발명영재의 창의성 요인구조 분석
- 초등학생의 발명에 대한 태도
- 초등학교 예비교사를 위한『초등기술교육』코스웨어 개발
- 대학의 다문화 관련 과목에서 가족을 중심으로 한 교양과목을 통한 다문화 인식 변화
- 초등기술기반 STEAM 교육이 초등학생의 기술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나만의 3D 입체 이미지 만들기’와 ‘QR코드로 명함 만들기’를 중심으로-
- 중학교 주생활 영역의 ‘녹색 실내환경 실천하기’ 수업이 녹색생활 의식과 행동에 미치는 효과
- 발명영재의 개념 요소 고찰:
- 메타 데이터와 한글 스크립트 포스트프로세서를 이용한 로봇 활용 STEM 교육의 접근에 대한 연구
- RoS 모델 적용을 통한 실과중심의 로봇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 제4차 산업혁명시대의 인간상과 교육의 방향 및 제언
- 미국 고교학점제의 특징과 한국 고교학점제 시행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운용 사례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